KR102259520B1 - Holder for portable electrical device - Google Patents
Holder for portable electrical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9520B1 KR102259520B1 KR1020200093961A KR20200093961A KR102259520B1 KR 102259520 B1 KR102259520 B1 KR 102259520B1 KR 1020200093961 A KR1020200093961 A KR 1020200093961A KR 20200093961 A KR20200093961 A KR 20200093961A KR 102259520 B1 KR102259520 B1 KR 1022595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able electronic
- electronic device
- hole
- elastic member
- hol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attached to the back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을 포함한 휴대 전자기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휴대 전자기기에 부착하여 휴대 전자기기를 보다 안정되게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양한 형태의 액세서리 공급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As the spread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smartphones and tablet PCs, expands, various types of accessories that are attach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hold and us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re stably are also being actively supplied.
특히, 최근의 휴대 전자기기는 디스플레이가 커짐에 따라 전체적인 사이즈가 커지고 두께는 얇아지는 추세에 있으며, 일반 전화 기능을 포함한 동영상이나 음악감상, 촬영, 인터넷 검색, 일정관리 등의 다양한 기능은 물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활용도가 점점 많아지면서, 대중교통 이용시 또는 보행중 등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휴대 전자기기를 사용하고 있다.In particular, recent portable electronic devices have a tendency to increase in overall size and thin in thickness as the display increases. In addition to various functions such as video or music listening, shooting, Internet search, and schedule management, including general phone functions, various functions, as well as various functions, are available. As the use of applications is increas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re being used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such as when using public transportation or while walking.
하지만, 크기가 커지고 두께가 얇아진 휴대 전자기기의 경우, 한 손으로 잡고 조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손에서 쉽게 미끄러지므로, 사용 중 휴대 전자기기를 떨어뜨리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larger size and a thinner thickness, it is difficult to hold and operate with one hand, and it slides easily from the hand, so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frequently dropped during us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휴대 전자기기 또는 그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되는 링 또는 고리 형상 등으로 이루어진 홀더가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 홀더는 견고한 파지가 되지 않고 손가락이 잘 빠질 수 있는 구조로 되다 보니, 사용자가 힘을 주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쉽게 손가락에서 빠져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holder made of a ring or ring shape attached to the back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its case is used, but the conventional holder does not have a solid grip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finger can be easily remov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easily detached from the finger when the force is not appli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휴대 전자기기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stably and firmly hol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손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a user's han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하는 문양이나 문자, 그림, 도안, 디자인 등이 표시된 인쇄지를 구비함으로써 디자인감이나 광고 선전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enhance the effect of design or advertisement by providing a printing paper on which a desired pattern, character, picture, design, design, etc. is display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장착이나 교체 등을 사용자가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has a simple structure so that a user can easily mount or replace it.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면이 휴대 전자기기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또는 부착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의 타면 쪽에 배치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서로 잡아당기도록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body that is detachably coupled or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on one side, and a second body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ody and , It provides a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provided to connec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includes an elastic member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pull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 사이에 손가락을 밀어 넣어 휴대 전자기기를 파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gripped by pushing a finger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hav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띠 형태의 탄성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member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band-shaped elastic band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 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바디에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the other e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may be fixed to the first body and the other e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In contrast, the elastic member has one e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The other end may be fixed to the second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관통하는 제1 관통홀과, 상기 제1 관통홀에서 이격하여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1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관통하는 제2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에서 이격하여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2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고정돌기 및 제2 고정돌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양단에 형성되는 걸림홀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has 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passes, and a first fix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apar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and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Including, wherein the second body includes a second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passes, and a second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apart from the second through-hole to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The elastic member may have locking holes formed at both ends so that the first fix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can be fitted thereinto.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재는 2개의 탄성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바디의 제2 고정돌기는 상기 제2 관통홀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서로 대응되는 2개의 제2-1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2개의 탄성밴드 각각의 타단에 형성되는 걸림홀에 상기 2개의 제2-1 고정돌기가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밴드가 결합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member is made of two elastic bands,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of the second body has two second-first 2-1 spacings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s from the second through-holes. It may include a fixing protrusion. In this case, the elastic band is coupled by making the two 2-1 fixing protrusions fit into the locking holes formed at the other ends of each of the two elastic band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바디의 제2 고정돌기는 상기 제2 관통홀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상이한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바디의 제2 고정돌기는 제2-1 고정돌기보다 제2 관통홀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더 멀도록 형성된 2개의 제2-2 고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2개의 제2-2 고정돌기는 상기 제2 관통홀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2개의 탄성밴드 각각의 타단에 형성되는 걸림홀에 상기 2개의 제2-2 고정돌기가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밴드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밴드는 상기 제2-1 고정돌기 또는 제2-2 고정돌기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따라서 탄성밴드의 탄성력에 차이가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of the second body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fferent separation distances from the second through-hole. For example,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of the second body may further include two 2-2 fixing protrusions formed to have a greater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second through-hole than the 2-1 fixing protrusion. In this case, the two 2-2 fixing protrusions are formed such that the separation distances from the second through-holes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e two 2-2 fixing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locking holes formed at the other ends of each of the two elastic bands. The elastic band may be coupled by allowing the fixing protrusion to be fitted. Accordingly, the elastic band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any one of the 2-1 fixing protrusion and the 2-2 fixing protrusion, and thus may be set to have a difference i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an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 단차를 이루도록 함몰 형성되는 제2 장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장착홈의 표면에 상기 제2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 단차를 이루도록 함몰 형성되는 제1 장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장착홈의 표면에 상기 제1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ody includes a second mounting groove recessed to form a step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mounting groov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groove. 2 fixing protrusions may be formed. In addition, the first body may include a first mounting groove recessed to form a step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econd body, and the first fix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groove. hav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고정돌기 및 제2 고정돌기는 각각의 하측에 절개 형성되는 제1 걸림홈 및 제2 걸림홈을 가지며, 상기 탄성부재는 양단이 상기 제1 고정돌기 및 제2 고정돌기에 끼워져 상기 제1 걸림홈 및 제2 걸림홈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x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have a first locking groove and a second locking groove that are cut and formed on the lower side, respectively, and the elastic member has both ends of the first fixing projection.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to be positioned in the first locking groove and the second locking groov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의 사이로 손가락이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하는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의 테두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의 서로 대향하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은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may be provided such that a finger is easily insert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For example,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edges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or one of the surfaces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facing each other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배면에 안착되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둘레를 함께 감싸면서 결합되는 커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표면에 모양이 형성된 중간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ody includes a base plate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coupled, a cover plate seated on a rea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a circumference of the base plate and the cover plate together. It may include a covering that is coupled while wrapping. In this case, the cover plate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second body may further include an intermediate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cover plate and having a shape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의 테두리의 일부가 끼워져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홀 또는 홈을 가지며, 상기 제2 바디를 회전시켜 테두리가 상기 제1 바디의 홀 또는 홈에 끼워져 걸리게 함으로써, 휴대 전자기기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를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has a hole or groove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rim of the second body can be fitted thereinto, and the rim is formed by rotating the second body so that the rim is the hole of the first body. Alternatively,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can be mounted at an angle by being fitted into the groov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각각 중앙에 형성되는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바디의 제1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바디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결합되는 하측부와, 상기 제2 바디의 제2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바디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결합되는 상측부와, 상기 하측부 및 상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each include a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the elastic member is the first through hole of the first body A lower portion that penetrates and is coupled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first body, an upper portion that passes through a second through hole of the second body and is coupled whil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econd body; It may include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side and the upper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1 관통홀에서 이격하여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 관통홀에서 이격하여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고정돌기 및 제2 고정돌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하측부 및 상측부 각각의 둘레 부근에 형성되는 걸림홀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fixing protrusions formed to protrude apar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body is formed to protrude apart from the second through hole. and a plurality of second fixing protrusions, wherein the elastic member may have a locking hole formed around each of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rotrusions can be fitted thereinto.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에 의하면, 사용자가 휴대 전자기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stably hold and operat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에 의하면, 탄성밴드에 의해 견고하게 파지가 되므로 사용자의 손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firmly gripped by the elastic band, it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user's han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여 장착이나 교체 등을 사용자가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제작이 편리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is simple, the user can easily mount or replace, and the manufacture is conveni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에 의하면, 원하는 문양이나 문자, 그림, 도안, 디자인 등의 표시된 인쇄지가 구비됨으로써 디자인감이나 광고 선전의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인쇄지를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paper displayed with a desired pattern, character, picture, design, design, etc. is provided, so that the design feeling or the effect of advertisement can be increased, and the user can easily use the printing paper as needed. I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의 분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의 베이스플레이트의 배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의 베이스플레이트의 측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의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의 사용상태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의 부분 분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exploded views of the holder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1 .
Figure 4 is a rear view of the base plate of the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ure 1;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base plate of the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ure 1;
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8 and 9 are diagrams of a state of use of the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1;
10A and 10B are partially exploded views of a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nother use state of the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merely for explaining in detail enough that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invention, which limi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n't mean
이하에서 휴대 전자기기의 일 예로서 '휴대폰'을 도면에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일 뿐이며, 휴대폰 뿐만 아니라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휴대용 게임기 등 휴대 가능한 모든 종류의 전자기기에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Hereinafter, a 'mobile phone' is shown in the drawings as an exampl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but this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used in all type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tablet PCs, PDA's, MP3 players, and portable game machines. It is stated in advance that the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용 홀더(이하, '홀더')(100)는,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2개의 바디(200, 300)와, 제1 바디(200) 및 제2 바디(300)를 연결하는 탄성부재(300)를 포함한다.1 to 9, the holder (hereinafter, 'holder') 100 for a portable electromagnetic fie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여기에서,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가 서로 잡아당기도록 탄성부재(300)가 탄성복원력을 가짐으로써,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는 서로 잡아당겨서 접촉 내지 밀착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 사이에 손가락을 밀어넣어 휴대 전자기기(10)를 파지할 수 있으며,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가 서로 잡아당겨 손가락을 압박하므로 견고한 파지가 가능하게 된다.Here, since the
제1 바디(200)는 일면이 휴대 전자기기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또는 부착된다. 예컨대, 제1 바디(200)의 일면이 점착제, 접착제,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필름 등에 의해 휴대 전자기기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 외에도 플레이트 형태가 휴대 전자기기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도 당연히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제1 바디(200)를 포함한 홀더(100)의 전체적인 형태가 원형 플레이트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수 있다.One side of the
제1 바디(200)는 후술하는 탄성부재(400)와의 결합을 위한 제1 관통홀(220)과, 제1 고정돌기(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탄성부재(400)와 제1 바디(200)의 탈착 가능한 결합을 위함이다. 이 경우 제1 관통홀(220)은 제1 바디(200)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고 제1 고정돌기(230)는 제1 관통홀(220)에서 이격하여 돌출 형성된다.The
또한, 제1 바디(200)는 그 일면(휴대 전자기기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되는 면)에 형성되는 제1 장착홈(210)을 가질 수 있고, 제1 장착홈(210)은 대략 장방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외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장착홈(210)의 표면 중앙에 제1 관통홀(220)이 관통 형성되고, 제1 관통홀(220)을 사이에 두고 제1 장착홈(210)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제1 고정돌기(23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400)가 2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고정돌기(230)는 제1 관통홀(220)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서로 대응되는 2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고정돌기(230)는 제1 관통홀(220)을 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의 하측에 절개 형성되는 제1 걸림홈(231)을 가진다.In addition, the
한편, 제1 바디(200)의 타면(제2 바디와 대향하는 면)은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바디(200)의 타면은 중앙에서 테두리로 갈수록 낮게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경사면(240)이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제1 바디(200)의 타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경우에는 제2 바디(300)의 일면(제1 바디와 대향하는 면)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의 서로 대향하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이 경사를 이루도록 하는 이유는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 사이에 손가락이 쉽게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이 외에도,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의 테두리 사이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손가락이 쉽게 들어갈 수 있게 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other surface (a surface facing the second body) of the
또한, 제1 바디(200)의 타면 중앙에는 제1 관통홀(220)의 둘레를 따라 걸림턱(221)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턱(221)은 제2 바디(300)의 제2 관통홀(314)에 끼워질 수 있는 외경을 가진다. 따라서, 제2 바디(30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어 탄성부재(4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회복될 때 제2 바디(300)가 제자리를 잘 잡을 수 있게 되고, 제1 바디(200)의 걸림턱(221)이 제2 바디(300)의 제2 관통홀(314)에 끼워짐으로 인해 제1 바디(200)에서 제2 바디(300)가 유동되는 현상도 방지된다. 걸림턱(221)의 외측면은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줄어드는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center of the other surface of the
제2 바디(300)는 제1 바디(200)의 타면 쪽에 배치되며, 탄성부재(400)에 의해 제1 바디(200)와 연결되어 제1 바디(200)와 서로 잡아당기게 된다. 제2 바디(300)는 제1 바디(20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310)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커버플레이트(320), 중간플레이트(340), 커버링(330)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바디(200)와 마찬가지로 도면에는 제2 바디(300)의 전체적인 형태가 원형 플레이트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수 있다.The
제2 바디(300)의 베이스플레이트(310)는 탄성부재(400)와의 결합을 위한 제2 관통홀(314)과, 제2 고정돌기(3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관통홀(314)은 제2 바디(300)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고 제2 고정돌기(315)는 제2 관통홀(314)에서 이격하여 돌출 형성된다. 제2 고정돌기(315)는 제2 관통홀(314)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서로 대응되는 2개의 제2-1 고정돌기(315a)를 포함할 수 있다.The
한편, 제2 바디(300)의 제2 고정돌기(315)는 제2 관통홀(314)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상이한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고정돌기(315)는 제2-1 고정돌기(315a)보다 제2 관통홀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더 멀도록 형성된 2개의 제2-2 고정돌기(31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1 고정돌기(315a) 외에 제2-2 고정돌기(315b)를 추가로 마련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탄성부재(400)의 일단을 제1 고정돌기(230)에 결합하고 탄성부재(400)의 타단을 제2-1 고정돌기(315a)에 결합한 것과, 탄성부재(400)의 일단을 제1 고정돌기(230)에 결합하고 탄성부재(400)의 타단을 제2-2 고정돌기(315b)에 결합한 것은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차이가 있으며, 후자가 전자에 비해 사용자의 손가락을 더 강하게 압박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손가락이 굵은 사용자는 후자에 비해 전자를 사용하는 것이 손가락에 부담감이 덜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fixing
제2 바디(300)의 베이스플레이트(310)는 제1 바디(200)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 단차를 이루도록 함몰 형성되는 제2 장착홈(313)을 가지며, 제2 장착홈(313)의 표면에 제2 고정돌기(3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장착홈(313)을 형성하는 이유는 탄성부재(400)의 타단이 제2 장착홈(313)에 수용되어 베이스플레이트(310)의 표면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2 장착홈(313)은 베이스플레이트(310)에 중간플레이트(340)의 수용을 위해 형성되는 수용홈(312) 내에 형성될 수 있고, 대략 장방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외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제2 장착홈(313)의 표면 중앙에 제2 관통홀(314)이 관통 형성되고, 제2 관통홀(314)을 사이에 두고 제2 장착홈(313)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제2 고정돌기(315)가 돌출 형성된다. 제2 고정돌기(315)는 제2 관통홀(314)을 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의 하측에 절개 형성되는 제2 걸림홈(316)을 가진다. A second through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바디(200)의 타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경우 제2 바디(300)의 일면(제1 바디와 대향하는 면)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또 다른 구조로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의 테두리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ther surface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바디(300)는 베이스플레이트(310) 외에 커버플레이트(320), 커버링(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320)는 베이스플레이트(310)의 배면에 안착되며, 커버링(330)은 베이스플레이트(310)와 커버플레이트(320)의 둘레를 함께 감싸면서 결합된다. 이 경우, 베이스플레이트(310)와 커버플레이트(320)는 각각 둘레를 따라 단차 형성되는 단턱(311, 321)을 가질 수 있고, 단턱(311, 321) 부분이 커버링(33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된다.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커버플레이트(320)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경우에는 베이스플레이트(310)의 배면 구조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며, 커버플레이트(320) 자체에 문양이나 문자, 그림, 도안, 디자인 등이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와 달리, 커버플레이트(32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경우에는 베이스플레이트(310)의 배면 구조가 외부에서 보이게 된다. 이 경우, 베이스플레이트(310)와 커버플레이트(320) 사이에 중간플레이트(340)가 개재될 수 있고, 중간플레이트(340)는 그 자체에 문양이나 문자, 그림, 도안, 디자인 등이 형성된 것이거나, 문양이나 문자, 그림, 도안, 디자인 등이 형성된 인쇄지가 부착된 것일 수 있다. 중간플레이트(340) 및/또는 인쇄지는 종이나 합성수지, 필름 또는 금속 등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플레이트(340)는 사용자가 교체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커버링(330)은 베이스플레이트(310)와 커버플레이트(320)의 둘레를 함께 감싸면서 결합된다. 커버링(330)은 내주면 둘레를 따라 삽입홈(331)이 형성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310), 커버플레이트(320)에 커버링(330) 결합시, 베이스플레이트(310)의 단턱(311)과 커버플레이트(320)의 단턱(321)이 커버링(330) 내주면의 삽입홈(331)에 삽입되어 삽입홈(331) 양측의 전방 플랜지부(332)와 후방 플랜지부(333)에 각각 걸리게 되며, 이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310)와 커버플레이트(320)로부터 커버링(330)이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The covering 330 is coupled while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탄성부재(400)는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를 연결하며,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가 서로 잡아당기도록 탄성복원력을 가진다. 탄성부재(400)는 고무를 비롯한 탄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홀더(100)의 사용 전 상태에서는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가 서로 접촉 내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손가락을 끼워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가 벌어지게 되면 탄성부재(400)의 탄성복원력으로 인해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가 서로 잡아당겨 그 사이에 끼어있는 손가락을 압박하게 됨으로써 견고한 파지가 가능해진다.The
탄성부재(400)는 띠 형태의 탄성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400)는 일단이 제1 바디(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제2 바디(3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탄성부재(400)의 일단이 제1 바디(2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 바디(3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이와 달리 탄성부재(400)의 일단이 제1 바디(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제2 바디(3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탄성부재(400)의 양단이 각각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참고로, 탄성부재(400)를 제1 바디(200) 또는 제2 바디(300)에 고정할 때 초음파 융착이나 접착제 등으로 고정할 수 있다.The
탄성부재(400)는 얇은 띠 형태의 신축부(410)와, 신축부(410) 양단에 원형으로 확장 형성되는 결합부(420)를 포함하는 탄성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양단의 결합부(420)에는 제1 고정돌기(230)와 제2 고정돌기(315)가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걸림홀(42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탄성부재(400)는 예컨대 2개의 탄성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탄성밴드의 개수와 배치 등은 통상의 기술자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The
한 쌍의 탄성부재(400) 각각의 일단이 제1 바디(200)의 제1 관통홀(220)을 관통하여 제1 장착홈(210)에 돌출 형성된 제1 고정돌기(230)에 결합된다. 이 경우, 제1 고정돌기(230)가 탄성부재(400)의 결합부(420)에 형성된 걸림홀(421)에 끼워지고, 제1 고정돌기(230)의 제1 걸림홈(231)에 탄성부재(400)의 일단이 걸려서 이탈이 방지되는데, 제1 고정돌기(230)의 제1 걸림홈(231)이 제1 관통홀(220)을 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의 하측에 절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고정돌기(230)로부터 탄성부재(400)가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탄성부재(400)의 일단은 제1 장착홈(210)에 수용되어 제1 바디(200)의 표면 상으로 돌출되지 않는다.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또한, 한 쌍의 탄성부재(400) 각각의 타단이 제2 바디(300)의 제2 관통홀(314)을 관통하여 제2 장착홈(313)에 돌출 형성된 제2 고정돌기(315)에 결합된다. 이 경우, 제2 고정돌기(315)가 탄성부재(400)의 결합부(420)에 형성된 걸림홀(421)에 끼워지고, 제2 고정돌기(315)의 제2 걸림홈(316)에 탄성부재(400)의 일단이 걸려서 이탈이 방지되는데, 제2 고정돌기(315)의 제2 걸림홈(316)이 제2 관통홀(314)을 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의 하측에 절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고정돌기(315)로부터 탄성부재(400)가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탄성부재(400)의 타단은 제2 장착홈(313)에 수용되어 제2 바디(300)의 표면 상으로 돌출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air of
한편, 휴대 전자기기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에 홀더(100)가 부착된 경우, 사용자는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 사이에 손가락을 밀어 넣어서 휴대 전자기기를 파지하면 되는데, 한 손으로 휴대 전자기기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를 잡고 다른 손으로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의 측방향에서 손가락을 밀어넣기만 해도 손가락이 끼워지게 되고(도 8 참고), 반드시 제2 바디(300)를 위로 잡아당겨서 제1 바디(200)와의 사이에 공간을 임의로 만들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과정의 파지가 가능한 것은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가 탄성밴드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도 4를 참고하여, 제2 바디(300)의 베이스플레이트(310)에 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베이스플레이트(310)는 그 배면에 제2 관통홀(314)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장착홈(313)을 가질 수 있으며, 도 4는 한 쌍의 제2 장착홈(313)이 십자 형태로 교차 형성된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With reference to FIG. 4 , the
베이스플레이트(310)에 한 쌍의 제2 장착홈(313)이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제2 장착홈(313)마다 제2 관통홀(314)과 제2 고정돌기(315) 사이의 간격을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차이가 있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편의에 맞춰 적절한 위치의 제2 고정돌기(315)에 탄성부재(400)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400)를 손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제2 고정돌기(315)에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것은 사용자가 쉽게 할 수 있다.When a pair of second mounting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관통홀(314)의 중심(O)으로부터 제2-1 장착홈(313a)의 제2-1 고정돌기(315a)까지의 거리(d1)가 제2 관통홀(314)의 중심(O)으로부터 제2-2 장착홈(313b)의 제2-2 고정돌기(315b)까지의 거리(d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한 쌍의 탄성부재(400)를 제2-1 고정돌기(315a)에 걸어서 탄성부재(400)에 탄성복원력이 상대적으로 낮게 걸린 상태로 사용하거나, 한 쌍의 탄성부재(400)를 제2-2 고정돌기(315b)에 걸어서 탄성부재(400)에 탄성복원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걸린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the distance d1 from the center O of the second through
이때, 탄성부재(400)를 제2-1 고정돌기(315a)에 걸어서 사용하면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가 서로 잡아당기는 힘이 보다 약하고, 탄성부재(400)를 제2-2 고정돌기(315b)에 걸어서 사용하면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가 서로 잡아당기는 힘이 보다 세게 된다. 사용자는 손가락의 굵기나 원하는 압박 정도를 고려하여 어느 고정돌기에 걸어서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면 된다.At this time, when 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310)의 수용홈(312)에 중간플레이트(340)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고, 필요 시 중간플레이트(340)를 파지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310)의 수용홈(312)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지홈(317)이 절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파지홈(317)을 통해 베이스플레이트(310)의 수용홈(312)에 삽입된 중간플레이트(340)의 테두리를 손가락 끝이나 기타 도구를 이용하여 들어올려 베이스플레이트(310)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다. 중간플레이트(340)에 광고성 도안이나 문양, 문자를 표시함으로써 디자인감 제공이나 광고 선전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자신이 선호하는 모양이나 디자인, 색감의 중간플레이트(340)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도 5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홀더(100)의 결합관계와 사용상태에 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 the coupling relationship and use state of the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는 탄성부재(400)에 의해 서로 잡아당기도록 힘을 받으므로 접촉 또는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탄성부재(400) 일단의 결합부(420)가 제1 관통홀(220)을 통해 제1 바디(200)의 제1 장착홈(210)으로 삽입되어 제1 고정돌기(230)에 결합되며, 탄성부재(400) 타단의 결합부(420)는 제2 관통홀(314)을 통해 제2 바디(300)의 제2 장착홈(313)으로 삽입되어 제2 고정돌기(315)에 결합된다.As shown in FIGS. 5 and 6 ,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을 가하여 제2 바디(300)를 제1 바디(200)와 멀어지도록 잡아당기게 되면 탄성부재(400)가 늘어날 수 있는 한계점까지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가 이격될 수 있고, 제2 바디(30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4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가 밀착된다. 이렇게 제2 바디(300)를 손으로 잡아당겨 제1 바디(200)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손가락 등을 공간에 집어넣은 다음 제2 바디(300)를 놓으면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 사이에 손가락이 끼워지게 된다.As shown in FIG. 7 , when the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전자기기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에 홀더(100)가 부착된 경우, 한 손으로 휴대 전자기기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를 잡고 다른 손으로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의 측방향에서 손가락을 밀어넣기만 해도 제2 바디(300)가 제1 바디(200)에서 위치 이동하면서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 사이에 손가락이 끼워지게 된다(도 8 참고). 이러한 과정의 파지가 가능한 것은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가 탄성밴드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며, 제2 바디(300)를 손으로 잡고 잡아당기는 방식에 비해 더욱 쉬운 방식이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의 서로 대향하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이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 공간을 형성하거나,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의 테두리 사이에 공간을 형성된 경우에는, 그 공간이 형성됨으로 인해 더욱 쉽게 손가락을 끼워넣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one of the surfaces of the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더(100)는 휴대 전자기기를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1 바디(200)는 제2 바디(300)의 테두리의 일부가 끼워져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홀 또는 홈을 가질 수 있다. 제2 바디(300)를 회전시켜 테두리가 제1 바디(200)의 홀 또는 홈에 끼워져 걸리게 함으로써, 휴대 전자기기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를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9 , the
제2 바디(300)의 홀 또는 홈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고, 여러 개를 형성하면 경사 각도를 다양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바디(300)는 제1 관통홀(220)을 가지고 있는데, 제1 관통홀(200)이 제1 바디(220)와 제2 바디(300)의 경사 지지를 가능하게 하는 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2 바디의 사용자는 제2 바디(300)를 제1 바디(200)로부터 잡아당긴 후, 제2 바디(300)를 회전시켜 제1 바디(200)의 제1 관통홀(220)에 제2 바디(300)의 테두리가 끼워지도록 하면, 경사지게 세워진 제2 바디(300)에 의해 휴대 전자기기(10)가 경사지게 거치될 수 있다.One or more holes or grooves of the
이때, 제2 바디(300)가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에서 제1 관통홀(220)에 제2 바디(300)의 테두리가 끼워져 걸리게 됨에 따라 제2 바디(300)의 일방향(예컨대 반시계 방향) 회전이 방지되고, 탄성부재(4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 바디(300)의 타방향(예컨대 시계 방향) 회전이 방지되어, 제1 바디(200)에 대한 제2 바디(300)의 경사각도가 견고히 유지된다. 한편, 제1 관통홀(220) 주변에 걸림턱(221)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걸림턱(221)이 제2 바디(300)의 테두리가 걸려서 지지되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as the rim of the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의 부분 분해도를 나타낸 것으로, 구체적으로 탄성부재(400)의 다른 예를 적용한 것이다. 즉, 도 2 내지 도 7의 탄성부재(400)가 별도로 분리된 복수의 탄성밴드로 이루어지는 것과는 달리, 탄성부재(400', 400'')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10A and 10B are partial exploded views of a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another example of the
예컨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00')는 제1 바디(200)에 결합되는 하측부(411)와, 제2 바디(300)에 결합되는 상측부(412)와, 하측부(411) 및 상측부(412)를 연결하는 연결부(4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하측부(411), 연결부(413), 상측부(412)는 일체로 이루어진다. 하측부(411)와 상측부(412) 각각의 양단에는 걸림홀(421)이 형성되며, 걸림홀(421)을 통해 탄성부재(400')가 제1 바디(200)의 제1 고정돌기(230), 제2 바디(300)의 제2 고정돌기(315)에 결합 고정되며, 필요 시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탄성부재(400')를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에 결합하는 경우, 탄성부재(400')의 하측부(411) 및 상측부(412)를 각각 제1 관통홀(220) 및 제2 관통홀(314)에 밀어넣어 통과시킨 후 제1 고정돌기(230) 및 제2 고정돌기(315)에 결합 고정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A , the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00')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판 형태를 갖는 하측부(414)와, 원형 또는 타원형의 판 형태를 갖는 상측부(415)와, 하측부(414) 및 상측부(415)를 연결하는 기둥 형태를 갖는 연결부(4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하측부(414), 연결부(416), 상측부(415)는 일체로 이루어진다. 하측부(414)와 상측부(415) 각각의 양측 둘레 부근에 걸림홀(421)이 형성되며, 걸림홀(421)을 통해 탄성부재(400'')가 제1 바디(200')의 제1 고정돌기(230), 제2 바디의 베이스플레이트(310'')의 제2 고정돌기(315)에 결합 고정되며, 필요 시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바디의 제1 장착홈(210'')과, 제2 바디의 제2 장착홈(313'')은 각각 탄성부재(400'')의 하측부(414) 및 상측부(415)가 수용될 수 있도록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측부(415)의 걸림홀(421)은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400'')를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에 결합하는 경우, 탄성부재(400'')의 하측부(414) 및 상측부(415)를 각각 제1 관통홀(220) 및 제2 관통홀(314)에 밀어넣어 통과시킨 후 각각 제1 바디의 표면 및 제2 바디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1 고정돌기(230) 및 제2 고정돌기(315)에 결합 고정한다. 참고로, 도면에서 탄성부재(400'')의 하측부(414) 및 상측부(415)의 크기가 제1 관통홀(220) 및 제2 관통홀(314)에 비해 크게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충분히 통과할 수도 있고, 적합한 크기로 조절하여 적용하면 된다.As shown in 10b, the elastic member 400' has a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홀더(100)를 손가락에 끼는 방식으로 주로 설명하고 있지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홀더(100)를 손가락이 아닌 별도의 끼움홈 또는 끼움홀을 갖는 기구(A)를 마련하여 그 기구(A)의 끼움홈 또는 끼움홀에 홀더(100)를 끼는 방식으로 할 수도 있고, 그 끼움홈 또는 끼움홀을 갖는 기구(A)를 차량, 책상, 기타 대상물에 부착, 거치 또는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specification,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understoo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홀더 200 : 제1 바디
210 : 제1 장착홈 220 : 제1 관통홀
230 : 제1 고정돌기 300 : 제2 바디
310 : 베이스플레이트 313 : 제2 장착홈
314 : 제2 관통홀 315 : 제2 고정돌기
320 : 커버플레이트 330 : 커버링
331 : 삽입홈 340 : 중간플레이트
400 : 탄성부재 410 : 신축부
420 : 결합부100: holder 200: first body
210: first mounting groove 220: first through hole
230: first fixing protrusion 300: second body
310: base plate 313: second mounting groove
314: second through hole 315: second fixing protrusion
320: cover plate 330: covering
331: insertion groove 340: middle plate
400: elastic member 410: stretchable part
420: coupling part
Claims (18)
상기 제1 바디의 타면 쪽에 대향 배치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서로 잡아당기도록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띠 형태의 탄성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관통하는 제1 관통홀과, 상기 제1 관통홀에서 이격하여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1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관통하는 제2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에서 이격하여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2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고정돌기 및 제2 고정돌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양단에 형성되는 걸림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a first body of which one surface is detachably coupled or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 second body disposed opposite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An elastic member provided to connec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pulled to each other,
The elastic member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band-shaped elastic bands,
The first body includes 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passes, and a first fix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apar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and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The second body includes a second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passes, and a second fix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apart from the second through hole a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The elastic member is a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locking holes formed at both ends so that the first fixing projection and the second fixing projection can be fitted.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 사이에 손가락을 밀어 넣어 휴대 전자기기를 파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In claim 1,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gripped by pushing a finger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holder.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또는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또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member is a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detachably coupled or fixed to the first body and the other end is detachably coupled or fixed to the second body.
상기 탄성부재는 2개의 탄성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바디의 제2 고정돌기는 상기 제2 관통홀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서로 대응되는 2개의 제2-1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탄성밴드 각각의 타단에 형성되는 걸림홀에 상기 2개의 제2-1 고정돌기가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밴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member is made of two elastic bands,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of the second body includes two 2-1 fixing protrusions whos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second through-hole corresponds to each other, and the two The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band is coupled by making the two 2-1 fixing protrusions fit into the locking holes formed at the other ends of the elastic bands.
상기 제2 바디의 제2 고정돌기는 상기 제2 관통홀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서로 대응되는 2개의 제2-2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탄성밴드 각각의 타단에 형성되는 걸림홀에 상기 2개의 제2-2 고정돌기가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밴드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2 고정돌기가 상기 제2-1 고정돌기보다 제2 관통홀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더 멀도록 형성되며, 상기 탄성밴드는 상기 제2-1 고정돌기 또는 제2-2 고정돌기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of the second body further includes two 2-2 fixing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t a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second through-hole, and is formed in a locking hole formed at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two elastic bands. The elastic band may be coupled by allowing the two 2-2 fixing protrusions to be fitted,
The 2-2 fixing protrusion is formed to have a greater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second through-hole than the 2-1 fixing protrusion, and the elastic band is one of the 2-1 fixing projection or the 2-2 fixing projection. A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electively coupled to any one.
상기 제2 바디의 제2 고정돌기는 상기 제2 관통홀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상이한 복수 개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밴드는 타단에 형성되는 걸림홀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제2 고정돌기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of the second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different separation distances from the second through-hole, and the elastic band is attach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fixing protrusions by a locking hole formed at the other end. A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electively coupled.
상기 제1 고정돌기는 제1 관통홀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서로 대응되는 2개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탄성밴드 각각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홀에 상기 2개의 제1 고정돌기가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밴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6,
The first fixing protrusion includes two having a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first through-hol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two first fixing protrusions are fitted into the locking holes formed at one end of each of the two elastic bands.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band is coupled.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 단차를 이루도록 함몰 형성되는 제1 장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착홈의 표면에 상기 제1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 단차를 이루도록 함몰 형성되는 제2 장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장착홈의 표면에 상기 제2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body includes a first mounting groove recessed to form a step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econd body, and the first fix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groove,
The second body includes a second mounting groove recessed to form a step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groove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o do.
상기 제1 고정돌기 및 제2 고정돌기는 각각의 하측에 절개 형성되는 제1 걸림홈 및 제2 걸림홈을 가지며, 상기 탄성부재는 양단이 상기 제1 고정돌기 및 제2 고정돌기에 끼워져 상기 제1 걸림홈 및 제2 걸림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x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have a first locking groove and a second locking groove which are cut and formed on the lower side, respectively, and the elastic member has both ends fitted into the first fixing projection and the second fixing projection to fit the second fixing projection. A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in the first locking groove and the second locking groove.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의 서로 대향하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은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ne of the surfaces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facing each other is formed to be inclined.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의 테두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edges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배면에 안착되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둘레를 함께 감싸면서 결합되는 커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body includes a base plate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coupled, a cover plate seated on a rea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a covering that is coupled while wrapping around the base plate and the cover plate together. A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표면에 모양이 형성된 중간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The method of claim 12,
The cover plate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second body further comprises an intermediate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cover plate and having a shape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의 테두리의 일부가 끼워져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홀 또는 홈을 가지며, 상기 제2 바디를 회전시켜 테두리가 상기 제1 바디의 홀 또는 홈에 끼워져 걸리게 함으로써, 휴대 전자기기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를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ody has a hole or groove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edge of the second body can be fitted and caught, and by rotating the second body so that the edge is fitted and caught in the hole or groove of the first body,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can be mounted at an angle.
상기 제1 바디의 타면 쪽에 대향 배치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가 서로 잡아당기도록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각각 중앙에 형성되는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바디의 제1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바디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결합되는 하측부와, 상기 제2 바디의 제2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바디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결합되는 상측부와, 상기 하측부 및 상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a first body of which one surface is detachably coupled or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 second body disposed opposite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An elastic member provided to connec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pulled to each other,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each include a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The elastic member penetrates the first through-hole of the first body and includes a lower portion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body in a state of contact, and a second through-hole of the second body through the second body of the second body. A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 upper part coupled to the surface in a state of contact;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lower part and the upper part.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1 관통홀에서 이격하여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 관통홀에서 이격하여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고정돌기 및 제2 고정돌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하측부 및 상측부 각각의 둘레 부근에 형성되는 걸림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fixing protrusions protruding apart from the first through-hole, and the second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fixing protrusions protruding apart from the second through-hole. and the elastic member has a locking hole formed in the vicinity of each of the periphery of the low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so that the first fixing projection and the second fixing projection can be fitted thereint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3961A KR102259520B1 (en) | 2020-07-28 | 2020-07-28 | Holder for portable electrical device |
KR1020210066116A KR20220014279A (en) | 2020-07-28 | 2021-05-24 | Holder for portable electrical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3961A KR102259520B1 (en) | 2020-07-28 | 2020-07-28 | Holder for portable electrical devic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6116A Division KR20220014279A (en) | 2020-07-28 | 2021-05-24 | Holder for portable electrical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59520B1 true KR102259520B1 (en) | 2021-06-02 |
Family
ID=763730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3961A KR102259520B1 (en) | 2020-07-28 | 2020-07-28 | Holder for portable electrical device |
KR1020210066116A KR20220014279A (en) | 2020-07-28 | 2021-05-24 | Holder for portable electrical device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6116A KR20220014279A (en) | 2020-07-28 | 2021-05-24 | Holder for portable electrical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25952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27904B1 (en) * | 2023-09-15 | 2024-11-07 | 김재성 | Holder for portable electrical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12762B1 (en) | 2022-11-10 | 2023-03-23 | 이종수 | Accessory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
KR102589160B1 (en) * | 2023-04-04 | 2023-10-13 | 주식회사 허스크 | Griptok accessory with three-dimensional shape that can be designed for personal us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6447B1 (en) * | 2016-09-23 | 2018-05-10 | (주)포도팟 | Supporting device of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
US20190223583A1 (en) * | 2018-01-12 | 2019-07-25 | Tzumi Electronics LLC | Gripping apparatus for handheld devices |
-
2020
- 2020-07-28 KR KR1020200093961A patent/KR102259520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5-24 KR KR1020210066116A patent/KR20220014279A/en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6447B1 (en) * | 2016-09-23 | 2018-05-10 | (주)포도팟 | Supporting device of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
US20190223583A1 (en) * | 2018-01-12 | 2019-07-25 | Tzumi Electronics LLC | Gripping apparatus for handheld devices |
US10624443B2 (en) * | 2018-01-12 | 2020-04-21 | Tzumi Electronics LLC | Gripping apparatus for handheld devices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https://blog.naver.com/amgkmaster/221924291675 (2020.04.23.) 1부.*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27904B1 (en) * | 2023-09-15 | 2024-11-07 | 김재성 | Holder for portable electrical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4279A (en) | 2022-0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59520B1 (en) | Holder for portable electrical device | |
CN111887575B (en) | Gripping apparatus for a hand-held device | |
KR102259521B1 (en) | Holder for portable electrical device | |
CN205813770U (en) | Equipment for decorative article | |
KR101753520B1 (en) | A smartphone cradle | |
KR101721751B1 (en) | Terminal holding device, terminal case and terminal assembly | |
KR20160018306A (en) |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JP3235914U (en) | Magnetic suction stand applied to mobile phone holders | |
KR101280783B1 (en) | Holder ring for mobile phone | |
KR20170111404A (en) | A smartphone cradle | |
KR102451592B1 (en) | Hand grip with supporting function for portable electrical device | |
EP3544290B1 (en) | Display device | |
JP7148967B2 (en) | Mobile device accessories | |
KR200455688Y1 (en) | Terminal Grip Band Unit | |
JP2015148650A (en) | Protection cover set | |
KR101437315B1 (en) |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WO2022042097A1 (en) | Intelligent terminal | |
JP2020174356A (en) | Mobile electronic terminal holder | |
KR102189964B1 (en) | Mobile phone safety holding system | |
KR20160003392A (en) | Holder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ase thereof | |
KR20160140546A (en) | Terminal holding device, terminal case and terminal assembly | |
US20220190865A1 (en) | Device for safely supporting mobile phone | |
JP3181999U (en) | Support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with rotating mechanism | |
KR101413212B1 (en) | Apparatus for arranging earphone cable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 |
KR101944626B1 (en) | Holder for portabl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