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994B1 - 근접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근접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994B1
KR102257994B1 KR1020190108459A KR20190108459A KR102257994B1 KR 102257994 B1 KR102257994 B1 KR 102257994B1 KR 1020190108459 A KR1020190108459 A KR 1020190108459A KR 20190108459 A KR20190108459 A KR 20190108459A KR 102257994 B1 KR102257994 B1 KR 102257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lectronic device
external device
gestur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7716A (ko
Inventor
스타니슬라프 페단
미콜라 앨릭시에프
로만 구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8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994B1/ko
Priority to US17/005,615 priority patent/US11716679B2/en
Priority to PCT/KR2020/011652 priority patent/WO2021045465A1/en
Publication of KR20210027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무선 외부 장치와의 근접 여부를 판별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송수신부,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제 1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신호가 전송되는 도중에, 상기 송수신부와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 주변의 사용자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전송되는 제1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해 왜곡되어 상기 외부 장치에게 제공되고, 상기 송수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가 수신한 상기 왜곡된 제1 신호를 복제함으로써 생성된 제 2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의 근접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접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ROXIMITY}
본 개시는 근접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연결을 형성하고자 하는 외부 장치와의 근접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이하 IoT)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5G 통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다양한 디바이스 혹은 서비스를 조작하거나 이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연결에 관한 보안과 인증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외부 장치와의 근접 여부를 판별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무선 외부 장치와의 근접 여부를 판별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송수신부,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제 1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신호가 전송되는 도중에, 상기 송수신부와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 주변의 사용자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전송되는 제1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해 왜곡되어 상기 외부 장치에게 제공되고, 상기 송수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가 수신한 상기 왜곡된 제1 신호를 복제함으로써 생성된 제 2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의 근접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제 1 신호의 왜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왜곡된 제 1 신호의, 전자 장치로부터의 거리에 기초한, 수신전력세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사이의 근접을 판별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제 2 신호와 미리 저장된 신호 패턴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제 2 신호와 미리 저장된 신호 패턴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제 2 신호와 미리 저장된 신호 패턴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을 이용한 연결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의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을 이용한 보안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의한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의한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을 이용한 외부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들의 초기 동작(initialization)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의한 공격자의 공격을 방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이웃의 오접속을 방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부", "모듈"은 어드레싱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시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다른 일 실시예의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장치의 동작이 운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10)는 외부 장치(120)와의 근접(proximity)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110)는 외부 장치(120)와 전자 장치(110)가 근접한 경우에만 외부 장치(120)와의 연결을 허용하여, 원거리에 위치하는 공격자(attacker)로부터의 공격을 차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11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10)는 모바일 폰, 스마트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웨어러블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사물 인터넷(IoT) 장치, 전자 회로, 칩셋, 및 전기 회로(즉, SoC(System on Chip)) 등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10)는 사용자의 홈 네트워크에 인증된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의한 외부 장치(12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10)를 이용하여 연결을 형성하고자 하는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120)를 가장하는 공격자(attacker)의 공격 장치(미도시)가 존재할 수 있다. 공격자의 공격 장치는, 전자 장치(110)의 외부 장치(120)로의 연결을 가로채어 전자 장치(110)의 정보를 획득하려는 장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격자의 공격 장치는 전자 장치(110)로부터 먼 곳에 위치할 수 있다. 공격 장치는 전자 장치(110)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면서도, 진정한 외부 장치(120)보다 강한 신호 세기의 브로드캐스팅 신호, 예를 들어 비콘 프레임(Beacon Frame) 신호를 송신하여, 전자 장치(110)와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은 공격 장치로부터의 공격을 극복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110)는 연결될 대상이 되는 외부 장치(120)와의 물리적 근접을 판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판별된 근접 여부를, 외부 장치(120)에 대한 동작, 예를 들어 외부 장치(120)와의 연결, 혹은 외부 장치(120)에의 인증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110)는 외부 장치(120)로 제 1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신호는 수신 신호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RSS)를 측정할 수 있는 신호일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제 1 신호는 전자 장치(110)와 외부 장치(120)의 연결에 이용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10)가 외부 장치(120)와 와이파이 혹은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 1 신호는 와이파이 신호 혹은 블루투스 신호일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10)와 외부 장치(120)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서로 송수신하여 연결될 수 있다. 혹은 제 1 신호는 IEEE, 지그비, 5G(5th Generation), New Radio (NR),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의 다양한 통신 규격에 기반한 신호일 수 있으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신호일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신호를 와이파이 신호로 예시한다. 그러나, 제 1 신호의 기술적 특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신 신호 세기가 관측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신호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당연히 이해될 것이다.
전자 장치(110)는, 외부 장치(120)로 제 1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사용자의 제스처, 즉, 사용자의 신체의 움직임, 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110)는, 제 1 신호를 전송하는 송수신부와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센서를 이용하여, 센서 주변의 사용자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는 약한 도전체(conductor)이므로, 제 1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은 제 1 신호를 왜곡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장치(120)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하여 왜곡된 제 1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한편, 왜곡된 제 1 신호에서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하여 왜곡된 변화는, 송신 장치인 전자 장치(110)와 외부 장치(120)의 거리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정도로 관측될 수 있다. 즉, 외부 장치(120)가 수신하는 왜곡된 제 1 신호는, 외부 장치(120)와 전자 장치(110) 사이의 근접을 판별하기 위한 지표가 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110)는 사용자의 제스처의 종류를 더 판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10)는 특정한 제스처를 요청하는 메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자 장치(110)는 특정한 제스처를 암시하는 이미지, 문자, 도형, 표식 등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혹은, 전자 장치(110)는 특정한 제스처를 암시하는 단어, 문장 등을 요청하는 소리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10)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표시된 특정한 제스처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는, 복수의 제스처를 암시하는 이미지, 문자, 도형, 표식 등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술된 복수의 제스처 중 특정 제스처를 사용자의 제스처의 종류로 판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는,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사용자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외부 장치(120)는, 수신한 왜곡된 제 1 신호를 복제한 신호인 제 2 신호를 전자 장치(110)에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외부 장치(120)로부터 수신된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10)와 외부 장치(120) 사이의 근접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110)는, 제 1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하여 왜곡된 제 1 신호를, 다시 수신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10)가 수신하는 신호는 전자 장치와의 거리가 0인 외부 장치가 수신하는 왜곡된 제 1 신호일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수신한 왜곡된 제 1 신호와 제 2 신호를 비교하여, 전자 장치(110)와 외부 장치(120) 사이의 근접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110)는, 제 1 신호 및 획득한 사용자의 제스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근접한 외부 장치가 수신할 왜곡된 제 1 신호를 예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예측된 신호와 제 2 신호를 비교하여, 전자 장치(110)와 외부 장치(120) 사이의 근접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110)는 미리 학습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근접한 외부 장치가 수신할 왜곡된 제 1 신호를 예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110)는, 판별된 사용자의 제스처의 종류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신호 패턴을 획득할 수 있다. 신호 패턴은, 미리 판별된 복수의 제스처들의 종류 및 그에 대응되는 근접한 외부 장치에서 수신되는 왜곡된 제 1 신호 패턴들일 수 있다. 상술된 복수의 제스처들의 종류 및 그에 대응되는 신호 패턴들은,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데이터베이스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혹은 서버 혹은 네트워크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10)는 미리 저장된 신호 패턴과 제 2 신호를 비교하여, 전자 장치(110)와 외부 장치(120) 사이의 근접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의한 제 1 신호는 전자 장치(110)와 외부 장치(120)의 연결에 이용되는 신호이므로, 전자 장치(110)와 외부 장치(120)는 근접을 판별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연결 방법 혹은 신호 프로토콜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전자 장치(110)와 외부 장치(120)는 추가적인 비용 지출 없이 효율적으로 연결을 형성하면서, 상호간의 근접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제 1 신호의 왜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제스처와 그에 의하여 왜곡된 제 1 신호의 수신전력세기가 도시된다.
S210 단계에서, 제 1 신호의 전송이 개시된다. S210 단계에서 사용자는 아직 제스처를 취하지 않았으므로, S210단계 동안 전송되는 제 1 신호의 부분에는 왜곡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S220 단계 및 S230 단계에서, 사용자의 제스처가 수행된다. 도 2에서는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전자 장치의 하부에서 상부로 스와이프(swipe) 하는 동작이 도시되었다.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하여, 그래프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S220 단계 및 S230 단계에서 전송되는 제 1 신호의 부분에 왜곡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한 왜곡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송신 장치인 전자 장치와의 거리에 비례하여 달리 관측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왜곡된 제 1 신호의, 전자 장치로부터의 거리에 기초한, 수신전력세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의 하부에서 상부로 스와이프(swipe) 하는 동작이 예시적인 제스처로 이용되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로부터 1m, 10, 15m의 거리에 위치한 외부 장치에서 제 1 신호를 수신한 결과가 도시된다.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하여 왜곡되는 제 1 신호는, 사용자의 움직이는 신체와 송수신부로부터의 거리 변화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는 복수의 단계(phase)를 가질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제 1 단계는 전자 장치의 상단에 위치하는 송수신부로 사용자의 손이 이동하는 동작에 의하여 제 1 신호가 왜곡되는 단계를, 제 2 단계는 사용자의 손이 송수신부와 근접한 위치에서 움직이는 동작에 의하여 제 1 신호가 왜곡되는 단계를, 제 3 단계는 사용자의 손이 송수신부로부터 멀어지는 동작에 의하여 제 1 신호가 왜곡되는 단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와 1m 거리에 있는 외부 장치가 수신한 왜곡된 제 1 신호는, 제 1 단계, 제 2 단계 및 제 3 단계의 특징을 가지는 신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와 1m 거리에 있는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와 근접한 외부 장치로 판별될 수 있다.
반면, 전자 장치와 10m 거리에 있는 외부 장치가 수신한 왜곡된 제 1 신호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계의 특징을 가지는 신호 및 제 2 단계의 특징을 가지는 신호가 희석되어 포함되어 서로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전자 장치와 15m 거리에 있는 외부 장치가 수신한 왜곡된 제 1 신호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계의 특징을 가지는 신호 및 제 2 단계의 특징을 가지는 신호가 더욱 희석되어 포함되어 서로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와 10m 거리 및 15m 거리에 있는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와 먼 거리에 위치하는 외부 장치로 판별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하는 외부 장치가 수신한 왜곡된 제 1 신호에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한 왜곡의 영향이 낮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장치가 수신하는 왜곡된 제 1 신호와, 왜곡된 제 1 신호가 복제된 신호인 제 2 신호는,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근접을 판별하기 위한 지표가 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사이의 근접을 판별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제스처로 인한 신호의 왜곡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사이의 근접을 판별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전자 장치로부터 외부 장치로 제 1 신호가 전송된다. 제 1 신호는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신호일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제 1 신호는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의 연결에 이용되는 신호일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전자 장치의 송수신부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센서를 이용하여, 센서 주변의 사용자의 제스처에 관한 정보가 획득된다. 실시예에 의한 제스처는, 사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일 수 있다. 제 1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은 제 1 신호를 왜곡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장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하여 왜곡된 제 1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단계 S430에서, 외부 장치가 수신한 왜곡된 제 1 신호를 복제함으로써 생성된 제 2 신호가, 전자 장치에 수신된다.
단계 S440에서,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근접이 판별된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는, 제 1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하여 왜곡된 제 1 신호를, 다시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수신한 왜곡된 제 1 신호와 제 2 신호를 비교하여,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사이의 근접을 판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는, 제 1 신호 및 획득한 사용자의 제스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근접한 외부 장치가 수신할 왜곡된 제 1 신호를 예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측된 신호와 제 2 신호를 비교하여,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사이의 근접을 판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는, 판별된 사용자의 제스처의 종류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신호 패턴을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미리 저장된 신호 패턴과 제 2 신호를 비교하여,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사이의 근접을 판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자 장치는 미리 저장된 신호 패턴과, 제 2 신호 사이의 연관(corelation)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사이의 근접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미리 저장된 신호 패턴과, 제 2 신호 사이의 연관(corelation)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이면,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가 근접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혹은, 전자 장치는 미리 저장된 신호 패턴과, 제 2 신호 사이의 연관(corelation)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이면,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는, 제 2 신호를 정규화(normalization)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신호는 제1 신호에서 제스처로 인하여 왜곡된 일부로부터 복제된 신호 및 왜곡되지 않은 일부로부터 복제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 2 신호에서 사용자의 제스처와 연관된 부분을 시간축(time domain) 단위에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스처가 수행된 시간 구간(time interval)을 판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 2 신호에서, 판별된 시간 구간의 신호 부분을 시간축(time domain)단위에서 분리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분리된 부분의 신호 부분만을 정규화하여, 보다 제스처로 인한 신호의 특성이 확연히 드러나도록 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제 2 신호에 기초한 근접 판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제 2 신호와 미리 저장된 신호 패턴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로부터의 거리가 0m인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 2 신호의 정규화(normalization)된 신호와, 미리 저장된 신호 패턴이 도시되었다.
제 2 신호와 미리 저장된 신호 패턴 사이의 연관은,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사이의 거리, 사용자의 제스처의 속도, 사용자의 제스처의 모양 등에 기초하여 가변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환경 하에서도,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로부터의 거리가 0m인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 2 신호와 미리 저장된 신호 패턴 사이의 연관은 0.8 이상의 높은 수치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와 근접한 것으로 판별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제 2 신호와 미리 저장된 신호 패턴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로부터의 거리가 5m인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 2 신호의 정규화된 신호와, 미리 저장된 신호 패턴이 도시되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 신호와 미리 저장된 신호 패턴 사이의 연관(corelation)은 도 5의 제 2 신호와 미리 저장된 신호 패턴 사이의 연관에 비하여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제 2 신호와 미리 저장된 신호 패턴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로부터의 거리가 15m인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 2 신호의 정규화된 신호와, 미리 저장된 신호 패턴이 도시되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로부터의 거리가 15m인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 2 신호와 미리 저장된 신호 패턴 사이의 연관(corelation)은 도 5의 제 2 신호와 미리 저장된 신호 패턴 사이의 연관에 비하여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810)는 프로세서(811), 제스처 센서(822) 및 송수신부(823)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810)는 외부 장치(820)와의 근접(proximity)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810)는 외부 장치(820)와 전자 장치(810)가 근접한 경우에만 외부 장치(820)와의 연결을 허용하여, 공격자로부터의 공격을 차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811)는 전자 장치(8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811)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된 인스트럭션은 메모리(미도시)로부터 프로세서(811)에 제공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811)는 메모리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혹은 인스트럭션은 송수신부(823)을 통해 프로세서(811)로 제공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811)는 외부 장치(820)로 제 1 신호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823)를 제어할 수 있다. 제 1 신호는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신호일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제 1 신호는 전자 장치(810)와 외부 장치(820)의 연결에 이용되는 신호일 수 있다.
프로세서(811)는, 외부 장치(820)로 제 1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사용자의 제스처, 즉, 사용자(80)의 신체의 움직임, 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제스처 센서(82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스처 센서(822)는 송수신부(823)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제스처 센서(822)는 터치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근접 센서, 온도 센서, 카메라, 광학 센서, 마이크 혹은 송수신부(823)의 수신 안테나일 수 있다. 송수신부(823)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제스처 센서(822)는 송수신부(823)의 수신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 장치(810)는 별도의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한 제 1 신호의 왜곡을 사용자의 제스처에 관한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제스처 센서(822)는 상술된 예시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한편, 외부 장치(820)는, 전자 장치(810)로부터 왜곡된 제 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820)는 수신한 왜곡된 제 1 신호를 복제하여 제 2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장치(820)는, 제 2 신호를 전자 장치(810)에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810)는 외부 장치(820)로부터 수신된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810)와 외부 장치(820) 사이의 근접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810)는 외부 장치(820)와의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을 외부 장치(820)에 대한 다양한 동작에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810)는 외부 장치(820)와 연결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술된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을 이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810)는, 외부 장치(820)와 연결을 형성하기 위하여, 기존의 보안 정보, 예를 들어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810)는 기존의 연결 형성 동작에 추가적으로, 상술된 외부 장치(820)와의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810)는 근접하다고 판별된 외부 장치(820)와의 연결만을 허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810)는 외부 장치(820)와 보안 데이터,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공유하고자 하는 파일, 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상술된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810)는, 근접하다고 판별된 외부 장치(820)에만 보안 데이터, 예를 들어 사진 데이터, 를 송수신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810)는 외부 장치(820)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혹은 설정하기 위하여 상술된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잠금은 절전 상태에 있거나, 적어도 일부의 기능이 실행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810)는, 근접하다고 판별된 외부 장치(820)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혹은 잠금이 해제된 외부 장치(820)를 다시 잠금으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810)는 외부 장치(820)의 기능을 제어하기 이하여 상술된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810)는, 근접하다고 판별된 외부 장치(820)의 동작을 전자 장치(810)를 이용하여 제어하여, 그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을 이용한 연결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910)는 주변에 위치한 연결 가능한 장치들을 탐색할 수 있다. 전자 장치(910)는 연결 가능한 장치들의 목록(91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 가능한 장치들의 목록(911)은 각 장치와 대응되는 텍스트, 이미지 혹은 그 조합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전자 장치(91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술된 연결 가능한 장치들 중 연결을 시도할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910)는 식별된 장치와 초기 접속이 수행되면, 식별된 장치와 실시예에 의한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910)는 식별된 장치에게 제 1 신호를 송신하면서, 사용자에게 제스처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91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메시지(912)는 제스처의 종류를 나타내는 텍스트, 이미지 혹은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과정에서 전자 장치(910)는 현재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이 진행 중임을 알리는(notice) 메시지(913)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식별된 장치가 전자 장치(910)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전자 장치(910)는 경고 메시지(914)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경고 메시지(914)는 식별된 장치와의 거리를 더 좁혀 다시 시도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된 장치가 전자 장치(910)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전자 장치(910)는 식별된 장치와의 초기 접속을 종료할 수 있다.
식별된 장치가 전자 장치(910)와 근접한 것으로 판별되면, 전자 장치(910)는 식별된 장치와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910)는, 연결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915)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910)가 연결을 형성하는 식별된 장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피커, 카메라 등과 같은 주변 장치 등 다양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의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910)는 다양한 종류의 제스처를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910)는 상술된 다양한 종류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미리 식별된 신호 패턴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탭 동작(손을 앞으로 숙였다 올리기), 스와이프 동작(손을 상/항/좌/우 방향으로 쓸어내듯 이동하기), 흔들기 동작(수평 또는 수직으로 흔들기), 돌리기 동작(시계방향, 반시계방향), 트레이싱 동작(손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추적하기), 혹은 양손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종류에 관한 제스처를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910)가 그 외의 다양한 종류의 제스처를 요청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을 이용한 보안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110)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은, 카메라 촬영, 이미지 앨범, 멀티미디어 재생, 문서 생성 혹은 독출, 네비게이션 등 다양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10)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보안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111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보안 데이터는, 사진, 문서, 동영상 등 사용자의 사적인(private) 데이터일 수 있다. 이때, 보안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동작은, 외부 장치와 파일을 공유(sharing)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메시지(1111)는 팝업 메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전자 장치(1110)는 보안 데이터가 전송 가능한 장치들의 목록(1112)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전송 가능한 장치들의 목록(1112)은 각 장치와 대응되는 텍스트, 이미지 혹은 그 조합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전자 장치(111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술된 전송 가능한 장치들 중 전송을 시도할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10)는 식별된 장치와 초기 접속이 수행되면, 식별된 장치와 실시예에 의한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110)는 식별된 장치에게 제 1 신호를 송신하면서, 사용자에게 제스처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1113)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메시지(1113)는 제스처의 종류를 나타내는 텍스트, 이미지 혹은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과정에서 전자 장치(1110)는 현재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이 진행 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식별된 장치가 전자 장치(1110)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전자 장치(1110)는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경고 메시지는 식별된 장치와의 거리를 더 좁혀 다시 시도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된 장치가 전자 장치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전자 장치(910)는 식별된 장치와의 초기 접속을 종료할 수 있다.
식별된 장치가 전자 장치(1110)와 근접한 것으로 판별되면, 전자 장치(1110)는 식별된 장치에 보안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10)는, 전송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1114)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의한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을 이용한 잠금 해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210)는 주변에 위치한 장치들 중 잠금 해제 혹은 설정이 가능한 장치들을 탐색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1210)는, 잠금 해제 혹은 설정이 가능한 장치들의 목록(121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잠금 해제 혹은 설정이 가능한 장치들의 목록(1211)은 각 장치와 대응되는 텍스트, 이미지 혹은 그 조합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전자 장치(121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술된 잠금 해제 혹은 설정이 가능한 장치들 중 잠금 해제 혹은 설정을 시도할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210)는 식별된 장치(1220)와 초기 접속이 수행되면, 식별된 장치(1220)와 실시예에 의한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210)는 식별된 장치(1220)에게 제 1 신호를 송신하면서, 사용자에게 제스처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121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메시지(1212)는 제스처의 종류를 나타내는 텍스트, 이미지 혹은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과정에서 전자 장치(1210)는 현재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이 진행 중임을 알리는(notice) 메시지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식별된 장치(1220)가 전자 장치(1210)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전자 장치(1210)는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경고 메시지(1214)는 식별된 장치(1220)와의 거리를 더 좁혀 다시 시도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된 장치(1220)가 전자 장치(1210)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전자 장치(1210)는 식별된 장치(1220)와의 초기 접속을 종료할 수 있다.
식별된 장치가 전자 장치(1210)와 근접한 것으로 판별되면, 전자 장치(1210)는 식별된 장치(1220)에 잠금 해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송신되는 신호에는, 전자 장치(1210)와 식별된 장치(1220) 사이의 근접이 검증되었다는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장치(1220)는, 전자 장치(1210)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1210)가 연결을 형성하는 식별된 장치(12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피커, 카메라 등과 같은 주변 장치, 홈 네트워크와 연결된 스마트 전자 장치 등 다양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의한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을 이용한 외부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310)는 주변에 위치한 제어 가능한 장치들을 탐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210)는 제어 가능한 장치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 가능한 장치들의 목록은 각 장치와 대응되는 텍스트, 이미지 혹은 그 조합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전자 장치(131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술된 제어 가능한 장치들 중 연결을 시도할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310)는 식별된 장치(1320)와 초기 접속이 수행되면, 식별된 장치(1320)와 실시예에 의한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310)는 식별된 장치(1320)에게 제 1 신호를 송신하면서, 사용자에게 제스처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131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메시지(1311)는 제스처의 종류를 나타내는 텍스트, 이미지 혹은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과정에서 전자 장치(1310)는 현재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이 진행 중임을 알리는(notice) 메시지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식별된 장치(1320)가 전자 장치(1310)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전자 장치(910)는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경고 메시지는 식별된 장치(1320)와의 거리를 더 좁혀 다시 시도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된 장치(1320)가 전자 장치(1310)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전자 장치(1310)는 식별된 장치(1320)와의 초기 접속을 종료할 수 있다.
식별된 장치(1320)가 전자 장치(1310)와 근접한 것으로 판별되면, 전자 장치(1310)는 식별된 장치에 대한 제어 인터페이스(131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제어 인터페이스(1312)는, 식별된 장치(13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인터페이스(1312)는 식별된 장치(1320)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된 장치(1320)가 에어컨인 경우, 제어 인터페이스(1312)는 현재 온도, 에어컨의 온도 조절 버튼, 온 오프 버튼 등과 대응되는 심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식별된 장치(1320)가 스피커인 경우, 제어 인터페이스(1312)는 현재 재생중인 멀티미디어의 정보, 볼륨 조절 버튼, 온 오프 버튼 등과 대응되는 심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심볼은 이미지, 텍스트 등 다양한 형태의 시각화된 정보일 수 있다. 전자 장치(1310)는 제어 인터페이스(1312)를 이용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식별된 장치(13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일 실시예에 의한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을 이용한 연결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장치에 연결하고자 하는 일반(normal) 사용자일 수 있다. 이웃(neighbor)은, 이웃의 단말을 이용하여 이웃의 장치에 연결하고자 하지만, 오접속에 의하여 사용자의 장치로 연결을 시도하는 일반 사용자일 수 있다. 공격자(attacker)는, 사용자의 단말로 하여금 공격자의 장치에 연결하게 하고자 하는 적대적 사용자일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들의 초기 동작(initialization)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계 S1410에서, 공격자(1430)는 공격자 장치(1450)에게 파워 온 신호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단계 S1420에서, 공격자 장치(1450)가 파워 온 된다. 파워 온 된 공격자 장치(1450)는, 주변 네트워크를 청취(listen)하면서 희생자(victim)가 될 주변 장치를 탐색할 수 있다.
단계 S1430에서, 사용자(1410)는 사용자 장치(1440)에게 파워 온 신호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단계 S1440에서, 사용자 장치가 파워 온 된다. 파워 온 된 사용자 장치(1440)는,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로서 동작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440)는, AP를 초기화하고,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초기 접속에 관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준비를 수행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초기 접속에 관한 정보는 비콘 프레임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이 비콘 프레임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단계 S1450 내지 S1470에서, 사용자 장치(1440)는 비콘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440)가 브로드캐스팅한 정보는, 사용자 장치(1440)로부터 신호가 도달하는 곳에 위치하는 공격자 장치(1450), 사용자 단말(1460) 및 이웃 단말(1470)에 각각 도달될 수 있다.
공격자 장치(1450)는, 사용자 장치(1440)로부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면, 단계 S1480에서, 사용자 장치(1440)를 위장할 준비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격자 장치(1450)는 사용자 장치(1440)가 브로드캐스팅한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할 수 있다. 공격자 장치(1450)는 사용자 장치(1440)로 위장하기 위한 비콘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팅하면서, 사용자 장치(1440)의 원래 비콘 프레임보다 더 강한 세기로 브로드캐스팅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1490 내지 단계 S1495에서, 공격자 장치(1450)가 브로드캐스팅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1460) 및 이웃 단말(1470)에 각각 도달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460) 및 이웃 단말(1470)은, 사용자 장치(144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신호의 세기보다 공격자 장치(145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신호의 세기가 더 강하므로, 사용자 장치(1440)보다 공격자 장치(1450)에 보다 먼저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의한 공격자의 공격을 방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560)을 이용하여 사용자 장치(1540)에 연결하고자 한다. 그러나 도 14에서 설명된 상황과 같이, 사용자 단말(1560)은 공격자 장치(1550)로 연결을 형성하도록 유인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단계 S1510에서, 사용자 단말(1560)은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주변 장치들을 탐색할 수 있다.
단계 S1520에서, 사용자 단말(1560)은 연결이 가능한 장치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S1525에서, 사용자 단말(1560)은 사용자(1510)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장치(1540)로 위장한 공격자 장치(1550)를 연결 대상 장치로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1530에서, 사용자 단말(1560)은 공격자 장치(1550)와 초기 접속을 준비할 수 있다. 단계 S1535에서, 공격자 장치(1550)는 세션 형성을 위한 준비, 예를 들어 핸드쉐이크(handshake) 시작, 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장치(1540)를 위장한 공격자 장치(1550)는, 통상적인 사용자 장치(1540)와 같이, 사용자 단말(1560)에게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1540에서, 사용자 단말(1560)은 공격자 장치(1550)의 근접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제스처를 요청하는 가이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S1545에서, 사용자는 가이드에 맞추어, 제스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1550에서, 사용자 단말(1560)은 제 1 신호를 공격자 장치(155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제스처가 수행되는 도중이므로, 제 1 신호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하여 왜곡되어 공격자 장치(1550)에 전송될 수 있다. 단계 S1555에서, 공격자 장치(1550)는 수신한 왜곡된 제 1 신호를 복사한 신호인 제 2 신호를 사용자 단말(156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560에서, 사용자 단말(1560)은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공격자 장치(1550)와 사용자 단말(1560)의 근접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공격자 장치(1550)로부터 제공된 제 2 신호는 사용자의 제스처와의 연관이 낮을 것이므로, 사용자 단말(1560)은 공격자 장치(1550)가 사용자 단말(1560)과 근접하지 않다고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560)은 공격자 장치(1550)와의 초기 접속을 종료할 수 있다.
단계 S1570에서, 사용자 단말(1560)은 연결 대상 장치가 근접하지 않다는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이웃의 오접속을 방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웃은 이웃 단말(1670)을 이용하여 이웃 장치에 연결하고자 한다. 그러나 실수에 의하여, 이웃 단말(1670)은 사용자 장치(1640)로 연결을 형성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계 S1610에서, 이웃 단말(1670)은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주변 장치들을 탐색할 수 있다.
단계 S1620에서, 이웃 단말(1670)은 연결이 가능한 장치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S1625에서, 이웃 단말(1670)은 이웃(1620)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장치(1640)를 연결 대상 장치로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1630에서, 이웃 단말(1670)은 사용자 장치(1640)와 초기 접속을 준비할 수 있다. 단계 S1635에서, 사용자 장치(1640)는 세션 형성을 위한 준비, 예를 들어 핸드쉐이크(handshake) 시작, 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640)는 이웃 단말(1670)에게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640에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660) 역시 사용자 장치(1640)와 초기 접속을 준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미 이웃 단말(1670)이 사용자 장치(1640)와 연결 형성이 진행중이므로, 단계 S1645에서, 사용자 장치(1640)는 사용자 단말(1660)에 바쁨(busy) 상태임을 보고할 수 있다. 혹은, 사용자 장치(1640)는 첫 연결 요청인 이웃 단말(1670)의 요청에만 응답하고, 사용자 단말(1660)의 요청에는 응답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단계 S1650에서, 사용자 단말(1660)은 사용자 장치(1640)가 바쁨 상태임을 알리는 바쁨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바쁨 메시지는, 재시도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660에서, 이웃 단말(1670)은 사용자 장치(1640)의 근접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제스처를 요청하는 가이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S1665에서, 이웃은 가이드에 맞추어, 제스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1670에서, 이웃 단말(1670)은 제 1 신호를 사용자 장치(16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이웃의 제스처가 수행되는 도중이므로, 제 1 신호는 이웃의 제스처에 의하여 왜곡되어 사용자 장치(1640)에 전송될 수 있다. 단계 S1675에서, 사용자 장치(1640)는 수신한 왜곡된 제 1 신호를 복사한 신호인 제 2 신호를 이웃 단말(167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680에서, 이웃 단말(1670)은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치(1640)와 이웃 단말(1670)의 근접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640)로부터 제공된 제 2 신호는 이웃의 제스처와의 연관이 낮을 것이므로, 이웃 단말(1670)은 사용자 장치(1640)가 이웃 단말(1670)과 근접하지 않다고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이웃 단말(1670)은 사용자 장치(1640)와의 초기 접속을 종료할 수 있다.
단계 S1690에서, 이웃 단말(1670)은 연결 대상 장치가 근접하지 않다는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는 서버, 컴퓨팅 장치,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장치는 근접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모든 종류의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데이터베이스 혹은 학습 모델로부터의 결과를 획득 혹은 출력하기 위하여,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 및 다른 장치(미도시)와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S/W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 컴퓨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된 외부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 전류(current)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내장 메모리, 메모리 카드, ROM 또는 RA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저장매체뿐만 아니라 레지스터, 캐쉬, 버퍼 등과 같이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으로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S/W 프로그램, S/W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또는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되는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디바이스 제조사 또는 전자 마켓(예,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앱 스토어)을 통해 전자적으로 배포되는 S/W 프로그램 형태의 상품(예, 다운로더블 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적 배포를 위하여, S/W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매체는 제조사 또는 전자 마켓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저장매체가 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와의 근접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수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제 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신호가 전송되는 도중에, 상기 송수신부와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 주변의 사용자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전송되는 제1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해 왜곡되어 상기 외부 장치에게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가 수신한 상기 왜곡된 제1 신호를 복제함으로써 생성된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의 근접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의 근접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신호와 상기 제스처에 관한 정보의 연관(correlation)을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연관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장치의 거리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와 상기 제스처에 관한 정보의 연관(correlation)을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스처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된 제스처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제스처의 종류에 대응되는 신호 패턴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신호와 상기 신호 패턴의 연관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는, 소정의 제스처를 암시하는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제스처를 상기 제스처의 종류로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제스처는 상기 전자 장치 상의 공간을 스와이프(swipe)하는 동작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의 연결에 이용되는 신호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와이파이 신호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으로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들 중 하나의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장치 선택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장치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근접 여부를 판별할 상기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여부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연결을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이 진행중임을 알리는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외부 장치와의 근접 여부를 판별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송수신부;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제 1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신호가 전송되는 도중에, 상기 송수신부와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 주변의 사용자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전송되는 제1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해 왜곡되어 상기 외부 장치에게 제공되고, 상기 송수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가 수신한 상기 왜곡된 제1 신호를 복제함으로써 생성된 제 2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의 근접 여부를 판별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신호와 상기 제스처에 관한 정보의 연관(correlation)을 판별하고, 상기 연관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장치의 거리를 판별하는,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스처의 종류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제스처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제스처의 종류에 대응되는 신호 패턴을 획득하고, 상기 제 2 신호와 상기 신호 패턴의 연관을 판별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소정의 제스처를 암시하는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소정의 제스처를 상기 제스처의 종류로 판별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제스처는 상기 전자 장치 상의 공간을 스와이프(swipe)하는 동작인, 전자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의 연결에 이용되는 신호인, 전자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와이파이 신호인, 전자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들 중 하나의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장치 선택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장치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근접 여부를 판별할 상기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전자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근접 여부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연결을 허용하는, 전자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근접 여부 판별 동작이 진행중임을 알리는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KR1020190108459A 2019-09-02 2019-09-02 근접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257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459A KR102257994B1 (ko) 2019-09-02 2019-09-02 근접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US17/005,615 US11716679B2 (en) 2019-09-02 2020-08-28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proximity
PCT/KR2020/011652 WO2021045465A1 (en) 2019-09-02 2020-08-31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proxim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459A KR102257994B1 (ko) 2019-09-02 2019-09-02 근접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716A KR20210027716A (ko) 2021-03-11
KR102257994B1 true KR102257994B1 (ko) 2021-05-31

Family

ID=74680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459A KR102257994B1 (ko) 2019-09-02 2019-09-02 근접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16679B2 (ko)
KR (1) KR102257994B1 (ko)
WO (1) WO202104546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25066A1 (en) 2015-01-21 2017-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distance between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1541B2 (en) * 2002-05-24 2005-11-01 Aeroscou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security in a wireless network using distance measurement techniques
US7724705B2 (en) * 2003-03-14 2010-05-25 Nokia Corporation Wireless transfer of data
US7414705B2 (en) * 2005-11-29 2008-08-19 Navisense Method and system for range measurement
JP6155499B2 (ja) * 2010-10-13 2017-07-05 インテル・コーポレーション Wi−Fi信号に基づく近接度検知のためのメカニズム
US9298333B2 (en) * 2011-12-22 2016-03-29 Smsc Holdings S.A.R.L. Gesturing architecture using proximity sensing
US9801004B2 (en) * 2012-06-29 2017-10-24 Intel Corporatio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securely pair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ing movement
US9170325B2 (en) * 2012-08-30 2015-10-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tance measurements between computing devices
US9692875B2 (en) 2012-08-31 2017-06-27 Analog Devices, Inc. Grip detection and capacitive gesture system for mobile devices
US8744418B2 (en) 2012-08-31 2014-06-03 Analog Devices, Inc. Environment detection for mobile devices
US10833912B2 (en) * 2012-12-05 2020-11-10 Origin Wireless, Inc. Methods, devices, servers, apparatus, and systems for wireless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s
CN103713735B (zh) 2012-09-29 2018-03-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使用非接触式手势控制终端设备的方法和装置
JP2014086790A (ja) 2012-10-22 2014-05-12 Alps Electric Co Ltd 通信機器間の認証方法
US9549323B2 (en) * 2012-12-03 2017-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screen lock
US20170212210A1 (en) * 2014-07-17 2017-07-27 Origin Wireless, Inc. Wireless positioning systems
US10042504B2 (en) 2013-08-13 2018-08-07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Interaction sensing
KR102008458B1 (ko) * 2013-08-30 2019-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시스템의 무선 기기 탐색 장치 및 방법
EP3069546A1 (en) * 2013-12-18 2016-09-21 Apple Inc. Gesture-base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devices in proximity
KR102186547B1 (ko) * 2014-02-06 2020-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선택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US9615391B2 (en) * 2014-02-19 2017-04-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of gesture-based detection of driver mobile device
US20150249913A1 (en) * 2014-02-28 2015-09-03 Rong Hua Location-based secure wave
US9424417B2 (en) * 2014-06-04 2016-08-23 Qualcomm Incorporated Secure current movement indicator
US9927933B2 (en) * 2014-07-10 2018-03-27 Microchip Technology Germany Gmbh Method and system for gesture detection and touch detection
US9778749B2 (en) * 2014-08-22 2017-10-03 Google Inc. Occluded gesture recognition
US9514296B2 (en) * 2014-09-08 2016-12-06 Qualcomm Incorporated Automatic authorization for access to electronic device
KR101628482B1 (ko) * 2014-09-18 2016-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선신호 분석을 통한 동작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30067B1 (ko) * 2014-10-02 2016-06-13 유한회사 밸류스트릿 복수의 모바일 기기들을 이용한 사용자 위치 파악 및 사용자 제스쳐 인식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 컨트롤 방법 및 장치
KR102349713B1 (ko) * 2014-10-20 2022-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치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5653963B (zh) 2014-11-20 2020-06-1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信息展示方法及装置
US20160198499A1 (en) * 2015-01-07 2016-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wirelessly connecting devices, and device thereof
US10484827B2 (en) * 2015-01-30 2019-11-19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Gesture-based load control via wearable devices
KR102384639B1 (ko) 2015-08-24 2022-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3335099B1 (en) * 2015-09-16 2020-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ignal detection
US9629201B2 (en) * 2015-09-21 2017-04-18 Qualcomm Incorporated Using Wi-Fi as human control interface
US20170168158A1 (en) * 2015-10-02 2017-06-15 Sound Solutions International Co., Ltd. Ultrasonic noise based sonar
KR102252251B1 (ko) * 2016-01-20 2021-05-14 제로키 인코포레이티드 거리측정 및 위치결정시스템과 이를 사용한 방법
KR102603634B1 (ko) * 2016-02-04 2023-11-20 애플 인크. 무선 레인징에 기초한 전자 디바이스들의 제어 및 정보의 디스플레이
CN105807935B (zh) * 2016-04-01 2019-01-11 中国科学技术大学苏州研究院 一种基于WiFi的手势控制人机交互系统
JP7076950B2 (ja) * 2017-05-18 2022-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102474173B1 (ko) * 2018-01-04 2022-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90320407A1 (en) * 2018-04-12 2019-10-17 Qualcomm Incorporated Range-based provision of network services
US11596026B2 (en) * 2019-06-20 2023-02-28 Intel Corporation Proximity detection by multiple WLAN link track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25066A1 (en) 2015-01-21 2017-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distance between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5465A1 (en) 2021-03-11
US11716679B2 (en) 2023-08-01
US20210068047A1 (en) 2021-03-04
KR20210027716A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1210B2 (en) Proximity unlock and lock operations for electronic devices
US102257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a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a user device
JP6509911B2 (ja) インターネット対応デバイスを高速オンボード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EP2816498A1 (en)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20505676A (ja) アプリケーション表示方法及び関連製品
EP3276910B1 (en) Bluetooth-based identity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US9917653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8195708A1 (zh) 分享图像的方法及电子设备
US20210136577A1 (en) Method and a device for wireless connection
US20160364107A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71159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70311364A1 (en) Simulation of near-field communications
KR102257994B1 (ko) 근접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EP29073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bling algorithms in a device
US120801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alarm service of electronic device
JP7532220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01681A (ko) 전자 장치의 보안 연결 방법 및 장치
KR2017007133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84639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30189357A1 (en) Packet transmission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positioning service and apparatus thereof
KR102731087B1 (ko)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검색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US97057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time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KR102279147B1 (ko) Ap의 무선 접속정보 변경 방법 및 이를 이용한 iot시스템
KR101828773B1 (ko) 무선 통신 코드 인증을 통한 스마트폰 첫 화면 드래그 아이콘 서비스 방법
JP664857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