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701B1 - 차량용 카울크로스바 - Google Patents
차량용 카울크로스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6701B1 KR101806701B1 KR1020160067929A KR20160067929A KR101806701B1 KR 101806701 B1 KR101806701 B1 KR 101806701B1 KR 1020160067929 A KR1020160067929 A KR 1020160067929A KR 20160067929 A KR20160067929 A KR 20160067929A KR 101806701 B1 KR101806701 B1 KR 1018067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ossbar
- main
- sub
- center support
- support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2—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 B62D7/224—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acting between the steering wheel and the steering gear, e.g. on the steering colum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built up with interlaced cross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145—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having a crossbeam incorporated there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8—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light alloys, e.g. extrud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1—Metal parts manufactured by mou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카울크로스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석 전방의 메인 크로스바와 조수석 전방의 서브 크로스바의 편심량에 따라 각각 최적의 연결구조를 적용하여 카울크로스바의 강성을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카울크로스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카울크로스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석 전방의 메인 크로스바와 조수석 전방의 서브 크로스바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차량용 카울크로스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방에는 스티어링 장치를 차체에 고정되도록 지지해주는 카울크로스바가 구비되고, 상기 카울크로스바는 스티어링 장치의 스티어링 컬럼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며 좌우 차폭 방향으로 길게 위치되어 차체에 직접 장착된다.
이러한 카울크로스바는 스티어링 장치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면서 그 진동을 견딜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스티어링 휠의 진동시 전달되는 진동에 대한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한편, 종래의 카울크로스바는 운전석 전방에 배치되는 메인 크로스바와 조수석 전방에 배치되는 서브 크로스바가 센터서포트브라켓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메인 크로스바와 서브 크로스바는 차량 실내 구성품의 배치 등을 고려한 설계 디자인에 따른 서로 편심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카울크로스바는 메인 크로스바와 서브 크로스바의 편심으로 인해 강성이 감소되어 충돌 성능 및 진동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운전석 전방의 메인 크로스바와 조수석 전방의 서브 크로스바의 편심량에 따라 각각 최적의 연결구조를 적용하여 카울크로스바의 강성을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카울크로스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운전석 전방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크로스바와, 조수석 전방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서브 크로스바, 및 상호 직경방향의 중심이 편심되어 위치된 상기 메인 크로스바와 서브 크로스바를 연결해주는 센터서포트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서포트유닛은,
서브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의 일단을 고정하는 연결부가 형성된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과; 상기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에 고정되고, 메인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의 일단을 고정하는 삽입홀이 형성된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울크로스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센터서포트유닛은, 상기 메인 크로스바의 반경과 서브 크로스바의 반경의 합이, 메인 크로스바의 직경방향의 중심과 서브 크로스바의 직경방향의 중심 간에 거리보다 크도록, 메인 크로스바와 서브 크로스바가 서로 배치된 상태의 카울크로스바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는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에 원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서브 크로스바의 일단은 확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서브 크로스바의 일단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에는 접합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메인 크로스바의 일단이 상기 접합플랜지에 둘러싸인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의 가장자리부가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의 서브 플랜지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와 삽입홀은 서로 단차지도록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운전석 전방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크로스바와, 조수석 전방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서브 크로스바, 및 상호 직경방향의 중심이 편심되어 위치된 상기 메인 크로스바와 서브 크로스바를 연결해주는 센터서포트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서포트브라켓은, 메인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의 일단을 감싸는 ㄷ 모양의 단면 구조를 가지며, 상기 메인 크로스바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메인 접합부와 메인 하단플랜지, 및 상기 서브 크로스바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서브 측면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울크로스바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센터서포트브라켓은, 상기 메인 크로스바의 직경방향의 중심과 서브 크로스바의 직경방향의 중심 간에 거리가, 메인 크로스바의 반경에서 서브 크로스바의 반경을 차감한 값이 되도록, 상기 메인 크로스바와 서브 크로스바가 서로 배치된 상태의 카울크로스바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센터서포트브라켓은, 상기 메인 크로스바에 서브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의 일단이 삽입되어 메인 크로스바의 내주면에 서브 크로스바의 외주면이 접하도록 배치된 상태의 카울크로스바에 적용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센터서포트브라켓은 메인 크로스바의 일단 하측을 ㄷ 모양으로 감쌀 수 있도록 센터부와 이 센터부의 양측에 절곡 형성된 사이드부로 이루어지며, 센터부의 상단부에 상기 메인 하단플랜지와 서브 측면플랜지가 형성되고, 사이드부의 상단부에 상기 메인 접합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의 일단 중 서브 크로스바가 내접하는 부위에 용접홀이 형성되고, 상기 용접홀에서 메인 크로스바와 서브 크로스바가 접합 고정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운전석 전방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크로스바와, 조수석 전방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서브 크로스바, 및 상호 직경방향의 중심이 편심되어 위치된 상기 메인 크로스바와 서브 크로스바를 연결해주는 센터서포트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서포트유닛은,
메인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의 일단 외주면에 고정되고, 서브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의 일단을 고정하는 연결부가 형성된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과; 상단은 메인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의 일단 외주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에 고정되는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울크로스바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터서포트브라켓은, 상기 메인 크로스바의 반경과 서브 크로스바의 반경의 합이, 메인 크로스바의 직경방향의 중심과 서브 크로스바의 직경방향의 중심 간에 거리보다 작도록, 상기 메인 크로스바와 서브 크로스바가 서로 배치된 상태의 카울크로스바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은 센터부와 이 센터부의 양측에 절곡 형성된 사이드부로 이루어져 ㄷ 모양의 단면 구조를 가지며, 상기 센터부의 상단부에 메인 크로스바의 일단 외주면에 고정되는 메인 하단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부의 상단부에 메인 크로스바의 일단 외주면에 고정되는 메인 접합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은 메인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센터부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메인 크로스바와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 및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이 폐단면 구조로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에는 서브 크로스바의 일단을 고정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서브 크로스바의 일단이 연결부에 관통하여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삽입홀에는 접합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서브 크로스바의 일단이 상기 접합플랜지에 둘러싸인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에 원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서브 크로스바의 일단은 확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서브 크로스바의 일단에 외접한 상태로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울크로스바는, 메인 크로스바와 서브 크로스바의 편심량에 따라 각각 최적의 연결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카울크로스바의 강성을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서포트유닛이 적용되는 카울크로스바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울크로스바의 센터서포트유닛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울크로스바의 센터서포트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터서포트브라켓(센터서포트유닛)이 적용되는 카울크로스바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울크로스바의 센터서포트브라켓의 상세 구조와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b의 A-A에서 본 단면도
도 7은 도 5b의 B-B에서 본 단면도
도 8은 도 5b의 C 방향에서 본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터서포트유닛이 적용되는 카울크로스바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울크로스바의 센터서포트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울크로스바의 센터서포트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울크로스바의 센터서포트유닛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울크로스바의 센터서포트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터서포트브라켓(센터서포트유닛)이 적용되는 카울크로스바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울크로스바의 센터서포트브라켓의 상세 구조와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b의 A-A에서 본 단면도
도 7은 도 5b의 B-B에서 본 단면도
도 8은 도 5b의 C 방향에서 본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터서포트유닛이 적용되는 카울크로스바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울크로스바의 센터서포트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울크로스바의 센터서포트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
본 발명은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좌우 일측의 메인 크로스바와 좌우 타측의 서브 크로스바가 센터서포트유닛을 통해 연결되는 카울크로스바에 관한 것으로, 새로운 센터서포트유닛의 연결구조를 통해 메인 크로스바와 서브 크로스바의 편심량에 따라 최적화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의 카울크로스바는 차량 실내 구성품(예를 들어, 에어벤트와 AVN 등)의 배치 등을 고려한 설계 디자인에 따른 메인 크로스바와 서브 크로스바 간에 편심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 편심량은 설계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증감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운전석 전방에 차폭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메인 크로스바와, 조수석 전방에 차폭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서브 크로스바의 편심량(직경방향의 중심 편심량임)에 따라 3가지 타입의 연결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카울크로스바의 배치 구조에 따라 각각 최적화된 강성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
첨부한 도 1에는 제1실시예에 따른 센터서포트유닛이 적용되는 카울크로스바의 개략적인 배치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에는 제1실시예에 따른 센터서포트유닛의 상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보듯이, 카울크로스바(10)는 메인 크로스바(11)의 반경과 서브 크로스바(12)의 반경의 합이, 메인 크로스바(11)의 직경방향의 중심(즉, 원심)과 서브 크로스바(12)의 직경방향의 중심 간에 거리보다 크도록, 메인 크로스바(11)와 서브 크로스바(12)가 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직경방향의 중심이 서로 편심되어 위치된 메인 크로스바(11)와 서브 크로스바(12)의 배치 구조를 가지는 카울크로스바(10)는, 편심량에 따른 효과적인 강성 보강을 위하여, 메인 크로스바(11)와 서브 크로스바(12) 사이에 도 2 및 도 3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센터서포트유닛(13)이 구비된다.
도 2 및 도 3을 보면, 센터서포트유닛(13)은 서브 크로스바(12)의 길이방향의 일단이 고정되는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14)과, 메인 크로스바(11)의 길이방향의 일단이 고정되는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17)으로 이루어진다.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14)은 메인 크로스바(11) 및 서브 크로스바(12)의 길이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길이방향의 상단부에 서브 크로스바(12)의 일단을 고정하여 지지해주는 연결부(15)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5)는 메인 크로스바(11)와 서브 크로스바(12) 사이에 위치된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14)의 상단부에서 서브 크로스바(12)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이때 차폭방향으로(혹은 돌출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감소하는 원추 형상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5)에 고정되는 서브 크로스바(12)의 일단은 길이방향의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증가하는 확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서브 크로스바(12)의 확관형 일단이 원추형 연결부(15)의 외주면에 용접으로 접합됨으로써, 다시 말해 원추형 연결부(15)가 서브 크로스바(12)의 확관형 일단에 삽입된 상태로 접합 고정됨으로써, 단면계수가 증대되어 메인 크로스바(11)와 연결되는 서브 크로스바(12)의 연결부분 휨 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일례로, 원추형 연결부(15)와 서브 크로스바(12)의 확관형 일단의 경사각도는 30 ~ 60°일 수 있다.
또한,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17)은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14)의 상단부에 용접으로 접합되어 고정되고, 메인 크로스바(11)의 길이방향의 일단을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삽입홀(18)이 형성된다.
좀더 설명하면,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17)은 그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서브 플랜지(19)에, ㄷ 모양으로 절곡된 단면 구조를 가지는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14)의 가장자리부가 용접으로 접합되어 고정된다. 삽입홀(18)은 이러한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17)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14)의 연결부(15)보다 상측에 위치되며, 이에 따라 삽입홀(18)과 연결부(15)는 서로 단차지도록 배치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18)에는 메인 크로스바(11) 측으로 돌출되는 접합플랜지(18a)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18)에 삽입된 메인 크로스바(11)의 일단 외주면이 상기 접합플랜지(18a)에 둘러싸인 상태로 용접되어 접합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메인 크로스바(11)와 서브 크로스바(12)가 연결되는 카울크로스바(10)는, 메인 크로스바(11)와 서브 크로스바(12)의 편심으로 인해 저하되는 휨 강성이 보강되며, 이에 따라 충돌 및 진동 등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차량 실내 디자인을 위한 차량 실내 구성품의 설계 자유도를 증대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첨부한 도 4에는 제2실시예에 따른 센터서포트브라켓(센터서포트유닛)이 적용되는 카울크로스바의 개략적인 배치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5a 내지 8에는 제2실시예에 따른 센터서포트브라켓의 상세 구조와 메인 크로스바 및 서브 크로스바와의 연결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통상 메인 크로스바는 그 직경이 서브 크로스바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카울크로스바(20)는, 도 4에 보듯이, 메인 크로스바(21)의 직경방향의 중심과 서브 크로스바(22)의 직경방향의 중심 간에 거리가, 메인 크로스바(21)의 반경에서 서브 크로스바(22)의 반경을 차감한 값이 되도록, 메인 크로스바(21)와 서브 크로스바(22)가 서로 위치될 수 있다. 참고로, 서브 크로스바(22)는 그 길이가 메인 크로스바(21)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이렇게 직경방향의 중심이 서로 편심되어 위치된 메인 크로스바(21)와 서브 크로스바(22)의 배치 구조를 가지는 카울크로스바(20)는, 메인 크로스바(21)와 서브 크로스바(22)의 연결부위 강성 향상을 위해 메인 크로스바(21)에 서브 크로스바(22)를 삽입한 형태로 오버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메인 크로스바(21)와 서브 크로스바(22)의 편심량에 따른 적절한 강성 보강을 위하여, 메인 크로스바(21)와 서브 크로스바(22) 사이에 도 5a 내지 8과 같이 이루어진 센터서포트브라켓(24)이 센터서포트유닛으로서 구비된다.
도 5a 내지 8을 보면, 메인 크로스바(21)의 길이방향의 일단에는 서브 크로스바(22)의 길이방향의 일단이 삽입되어 내접하며, 이에 메인 크로스바(21)의 일단 내주면에 서브 크로스바(22)의 일단 외주면이 부분 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센터서포트브라켓(24)은 서로 직경방향의 중심이 편심되어 위치된 상기 메인 크로스바(21)와 서브 크로스바(22)를 연결해주는 것으로서, 메인 크로스바(21)의 길이방향의 일단을 감싸는 ㄷ 모양의 단면 구조를 가지며, 메인 크로스바(21) 및 서브 크로스바(22)의 길이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길이방향의 상단부에 메인 크로스바(21)와 서브 크로스바(22)의 일단을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메인 접합부(25)와 메인 하단플랜지(26) 및 서브 측면플랜지(27)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터서포트브라켓(24)은 메인 크로스바(21)의 일단 하측을 ㄷ 모양으로 감쌀 수 있도록, 중앙의 센터부(24a)와 센터부(24a)의 양측에 절곡 형성된 사이드부(24b)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터부(24a)의 상단부가 메인 크로스바(21)의 길이방향의 끝단에 접하게 되고, 상기 사이드부(24b)의 상단부가 메인 크로스바(21)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용접으로 접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센터부(24a)의 상단부에는 메인 크로스바(21)의 길이방향의 일단 외주면에 고정되는 메인 하단플랜지(26)와 서브 크로스바(22)의 길이방향의 일단 외주면에 고정되는 서브 측면플랜지(27)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사이드부(24b)의 상단부에 메인 크로스바(21)의 일단 외주면에 고정되는 메인 접합부(25)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접합부(25)는 사이드부(24b)의 상단부 끝단으로서 구비된다.
좀더 설명하면, 상기 메인 접합부25v와 메인 하단플랜지(26)가 용접으로 메인 크로스바(21)의 외주면에 접합 고정된 상태에서, 서브 측면플랜지(27)가 서브 크로스바(22)의 외주면에 용접으로 접합 고정된다.
이때, 차량의 전후 및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메인 크로스바(21)의 외주면 중 대략 전후 양측에 메인 접합부(25)가 고정되고, 메인 크로스바(21)의 외주면 중 하측에 메인 하부플랜지(26)가 고정되며, 서브 크로스바(22)의 외주면 중 대략 전후 양측에 서브 측면플랜지(27)가 고정된다.
또한, 도 8을 보면, 서브 크로스바(22)가 내접하는 메인 크로스바(21)의 하측에는 서브 크로스바(22)의 용접을 위한 용접홀(28)이 형성되고, 상기 용접홀(28)에서 메인 크로스바(21)와 서브 크로스바(22)가 더 접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메인 크로스바(21)와 서브 크로스바(22)의 연결구조에 의해, 메인 크로스바(21)와 서브 크로스바(22)의 편심으로 인해 저하되는 카울크로스바(20)의 강성이 효과적으로 보강되며, 이에 따라 카울크로스바(20)의 충돌 및 진동 등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차량 실내 디자인을 위한 차량 실내 구성품의 설계 자유도를 증대할 수 있게 된다.
제3실시예
첨부한 도 9에는 제3실시예에 따른 센터서포트유닛이 적용되는 카울크로스바의 개략적인 배치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 및 도 11에는 제3실시예에 따른 센터서포트유닛의 상세 구조와 메인 크로스바 및 서브 크로스바와의 연결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보듯이, 카울크로스바(30)는 메인 크로스바(31)의 반경과 서브 크로스바(32)의 반경의 합이, 메인 크로스바(31)의 직경방향의 중심과 서브 크로스바(32)의 직경방향의 중심 간에 거리보다 작도록, 메인 크로스바(31)와 서브 크로스바(32)가 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직경방향의 중심이 서로 편심되어 위치된 메인 크로스바(31)와 서브 크로스바(32)의 배치 구조를 가지는 카울크로스바(30)의 경우는, 편심량에 따른 최적의 강성 보강을 위하여, 메인 크로스바(31)와 서브 크로스바(32) 사이에 도 10 및 도 11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센터서포트유닛(33)이 구비된다.
도 10 및 도 11을 보면, 센터서포트유닛(33)은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34)과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38)으로 이루어진다.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34)은 메인 크로스바(31) 및 서브 크로스바(32)의 길이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것으로, 메인 크로스바(31)의 길이방향의 일단 외주면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이를 위해,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34)은 길이방향의 상단부에 메인 크로스바(31)의 일단에 고정되는 메인 접합부(35)와 메인 하단플랜지(36)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34)은 중앙의 센터부(34a)와 센터부(34a)의 폭방향 양측에 절곡 형성된 사이드부(34b)로 이루어져 ㄷ 모양의 단면 구조를 가지며, 상기 센터부(34a)의 상단부에 메인 하단플랜지(36)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부(34b)의 상단부에 센터부(34a)보다 길게 배치되는 메인 접합부(35)가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34)은, 차량의 전후 및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대략, 메인 크로스바(31)의 외주면 중 전후 양측에 메인 접합부(35)가 용접에 의해 접합 고정되고, 메인 크로스바(31)의 외주면 중 하측에 메인 하단플랜지(36)가 용접에 의해 접합 고정된다.
또한,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34)의 센터부(34a)에는 서브 크로스바(32)의 길이방향의 일단을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연결부(37)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37)는 메인 크로스바(31)와 서브 크로스바(32) 사이에 위치된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34)의 센터부(34a) 상단부에서 서브 크로스바(32)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돌출방향으로(즉, 서브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으로)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원추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7)에 고정되는 서브 크로스바(32)의 일단은 길이방향의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증가하는 확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서브 크로스바(32)의 확관형 일단이 원추형 연결부(37)에 삽입되어 외접한 상태에서 용접으로 고정됨으로써, 다시 말해 서브 크로스바(32)의 확관형 일단의 외주면에 원추형 연결부(37)의 내주면이 접합되어 고정됨으로써, 단면계수가 증대되어 메인 크로스바(31)에 연결되는 서브 크로스바32v의 연결부분 휨 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크로스바(32)의 확관형 일단이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38)을 관통하여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38)에 용접으로 고정됨으로써, 서브 크로스바(32)의 연결부분 휨 강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38)은 메인 크로스바(31)의 일단과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34) 사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상단에 형성된 서브 상단플랜지(39)가 메인 크로스바(31)의 일단 외주면 중 하측에 접합 고정되고, 하단에 형성된 서브 하단플랜지(40)가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34)의 상단부(구체적으로, 연결부의 하측)에 접합 고정되며, 서브 상단플랜지(39)와 서브 하단플랜지(40) 사이에 상기 서브 크로스바(32)의 확관형 일단을 지지하는 삽입홀(4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41)에는 메인 크로스바(31) 측으로 돌출되는 접합플랜지(41a)가 형성되고, 삽입홀(41)에 관통하여 지지되는 서브 크로스바(32)의 확관형 일단이 상기 접합플랜지(41a)에 둘러싸인 상태로 용접 접합되어 고정된다.
이렇게 서브 크로스바(32)의 확관형 일단이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34)의 연결부(37)에 관통하여 접합 고정되는 동시에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38)의 삽입홀(41)에 삽입되어 접합 고정됨으로써 메인 크로스바(31)와 연결되는 서브 크로스바(32)의 연결부분 휨 강성을 증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1에 보듯이, 서브 크로스바(32)의 일단은,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34)의 연결부에 용접되는 부분만 확관형으로 형성되고,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38)의 삽입홀(41)에 끼워지는 부분은 비확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38)은, 서브 상단플랜지(39)와 서브 하단플랜지(40)를 통해 메인 크로스바(31)와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34) 사이에 용접 고정되며, 이때 메인 크로스바(31)의 길이방향으로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34)의 센터부(34a)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메인 크로스바(31)와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34) 및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38)이 폐단면 구조로 서로 연결되어 지지하게 됨으로써 카울크로스바(30)의 휨 강성을 더욱 증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38)은 폭방향으로 양측 가장자리부에 서포트플랜지(42)가 형성되고, 이 서포트플랜지(42)는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34)의 사이드부(34b) 끝단에 안착한 상태로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연결되는 메인 크로스바(31)와 서브 크로스바(32)는, 메인 크로스바(31)와 서브 크로스바(32)의 편심으로 인해 저하되는 휨 강성이 보강되며, 이에 따라 카울크로스바(30)의 충돌 및 진동 등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차량 실내 디자인을 위한 차량 실내 구성품의 설계 자유도를 증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센터서포트유닛(33)은 마그네슘 재질을 다이케스팅 방식으로 가공하거나 스틸 재질을 프레스성형으로 가공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34)의 경우, 중량 절감을 위해 강성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에 중량 절감용 홀(43)을 적용할 수 있고, 강성 중요도가 높은 영역에는 별도로 강성 보강용 겹판(44)을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강성 보강용 겹판(44)은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34)의 하단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10 참조).
그리고,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상기의 카울크로스바(30)는 메인 크로스바(31) 및 서브 크로스바(32)의 길이방향의 타단이 각각 차체 측에 지지되도록 결합되고, 또한 메인 크로스바(31)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카울 브라켓(미도시)을 통해 차체 측에 지지되도록 결합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20,30 : 카울크로스바 11,21,31 : 메인 크로스바
12,22,32 : 서브 크로스바 13 : 센터서포트유닛
14 :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 15 : 연결부
17 :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 18 : 삽입홀
18a : 접합플랜지 19 : 서브 플랜지
24 : 센터서포트브라켓 24a : 센터부
24b : 사이드부 25 : 메인 접합부
26 : 메인 하단플랜지 27 : 서브 측면플랜지
28 : 용접홀 33 : 센터서포트유닛
34 :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 34a : 센터부
34b : 사이드부 35 : 메인 접합부
36 : 메인 하단플랜지 37 : 연결부
38 :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 39 : 서브 상단플랜지
40 : 서브 하단플랜지 41 : 삽입홀
41a : 접합플랜지 42 : 서포트플랜지
43 : 중량 절감용 홀 44 : 강성 보강용 겹판
12,22,32 : 서브 크로스바 13 : 센터서포트유닛
14 :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 15 : 연결부
17 :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 18 : 삽입홀
18a : 접합플랜지 19 : 서브 플랜지
24 : 센터서포트브라켓 24a : 센터부
24b : 사이드부 25 : 메인 접합부
26 : 메인 하단플랜지 27 : 서브 측면플랜지
28 : 용접홀 33 : 센터서포트유닛
34 :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 34a : 센터부
34b : 사이드부 35 : 메인 접합부
36 : 메인 하단플랜지 37 : 연결부
38 :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 39 : 서브 상단플랜지
40 : 서브 하단플랜지 41 : 삽입홀
41a : 접합플랜지 42 : 서포트플랜지
43 : 중량 절감용 홀 44 : 강성 보강용 겹판
Claims (17)
- 운전석 전방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크로스바와, 조수석 전방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서브 크로스바, 및 상호 직경방향의 중심이 편심되어 위치된 상기 메인 크로스바와 서브 크로스바를 연결해주는 센터서포트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크로스바의 반경과 서브 크로스바의 반경의 합이, 메인 크로스바의 직경방향의 중심과 서브 크로스바의 직경방향의 중심 간에 거리보다 크도록, 메인 크로스바와 서브 크로스바가 서로 배치되며,
상기 센터서포트유닛은 서브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의 일단을 고정하는 연결부가 형성된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과, 상기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에 고정되고 메인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의 일단을 고정하는 삽입홀이 형성된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는 직경이 점차 감소하도록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서브 크로스바의 일단은 길이방향의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서브 크로스바의 일단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울크로스바.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에는 접합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메인 크로스바의 일단이 상기 접합플랜지에 둘러싸인 상태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울크로스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의 가장자리부가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의 서브 플랜지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와 삽입홀은 서로 단차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울크로스바.
- 운전석 전방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크로스바와, 조수석 전방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서브 크로스바, 및 상호 직경방향의 중심이 편심되어 위치된 상기 메인 크로스바와 서브 크로스바를 연결해주는 센터서포트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서포트브라켓은, 메인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의 일단을 감싸는 ㄷ 모양의 단면 구조를 가지며, 상기 메인 크로스바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메인 접합부와 메인 하단플랜지, 및 상기 서브 크로스바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서브 측면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울크로스바.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메인 크로스바의 직경방향의 중심과 서브 크로스바의 직경방향의 중심 간에 거리가, 메인 크로스바의 반경에서 서브 크로스바의 반경을 차감한 값이 되도록, 상기 메인 크로스바와 서브 크로스바가 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울크로스바.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메인 크로스바에 서브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의 일단이 삽입되어 메인 크로스바의 내주면에 서브 크로스바의 외주면이 접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울크로스바.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센터서포트브라켓은 메인 크로스바의 일단 하측을 ㄷ 모양으로 감쌀 수 있도록 센터부와 이 센터부의 양측에 절곡 형성된 사이드부로 이루어지며, 센터부의 상단부에 상기 메인 하단플랜지와 서브 측면플랜지가 형성되고, 사이드부의 상단부에 상기 메인 접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울크로스바.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메인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의 일단 중 서브 크로스바가 내접하는 부위에 용접홀이 형성되고, 상기 용접홀에서 메인 크로스바와 서브 크로스바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울크로스바.
- 운전석 전방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크로스바와, 조수석 전방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서브 크로스바, 및 상호 직경방향의 중심이 편심되어 위치된 상기 메인 크로스바와 서브 크로스바를 연결해주는 센터서포트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서포트유닛은,
메인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의 일단 외주면에 고정되고, 서브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의 일단을 고정하는 연결부가 형성된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과;
상단은 메인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의 일단 외주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에 고정되는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울크로스바.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메인 크로스바의 반경과 서브 크로스바의 반경의 합이, 메인 크로스바의 직경방향의 중심과 서브 크로스바의 직경방향의 중심 간에 거리보다 작도록, 상기 메인 크로스바와 서브 크로스바가 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울크로스바.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은 센터부와 이 센터부의 양측에 절곡 형성된 사이드부로 이루어져 ㄷ 모양의 단면 구조를 가지며, 상기 센터부의 상단부에 메인 크로스바의 일단 외주면에 고정되는 메인 하단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부의 상단부에 메인 크로스바의 일단 외주면에 고정되는 메인 접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울크로스바.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은 메인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센터부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메인 크로스바와 메인 센터서포트브라켓 및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이 폐단면 구조로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울크로스바.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에 서브 크로스바의 일단을 고정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서브 크로스바의 일단이 연결부에 관통하여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울크로스바.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에는 접합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서브 크로스바의 일단이 상기 접합플랜지에 둘러싸인 상태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울크로스바.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서브 센터서포트브라켓에 원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서브 크로스바의 일단은 확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서브 크로스바의 일단에 외접한 상태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울크로스바.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7929A KR101806701B1 (ko) | 2016-06-01 | 2016-06-01 | 차량용 카울크로스바 |
US15/341,252 US10155536B2 (en) | 2016-06-01 | 2016-11-02 | Cowl cross bar for vehicle |
CN202110297252.5A CN112937694B (zh) | 2016-06-01 | 2016-11-15 | 用于车辆的前围板横杆 |
CN201611004423.6A CN107444498B (zh) | 2016-06-01 | 2016-11-15 | 用于车辆的前围板横杆 |
US16/185,391 US10766528B2 (en) | 2016-06-01 | 2018-11-09 | Cowl cross bar for vehicle |
US16/185,520 US10766529B2 (en) | 2016-06-01 | 2018-11-09 | Cowl cross bar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7929A KR101806701B1 (ko) | 2016-06-01 | 2016-06-01 | 차량용 카울크로스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06701B1 true KR101806701B1 (ko) | 2017-12-07 |
Family
ID=60483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7929A KR101806701B1 (ko) | 2016-06-01 | 2016-06-01 | 차량용 카울크로스바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3) | US10155536B2 (ko) |
KR (1) | KR101806701B1 (ko) |
CN (2) | CN112937694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67169A (ko) * | 2019-11-29 | 2021-06-08 | 주식회사 세원정공 | 자동차 카울 크로스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57510A1 (en) * | 2018-02-12 | 2019-08-15 | Zephyros, Inc. | Instrument panel support structure |
CN110733577A (zh) * | 2018-07-20 | 2020-01-31 |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 梁结构和仪表板横梁总成 |
JP6954940B2 (ja) * | 2019-02-01 | 2021-10-27 | フタバ産業株式会社 | サイドブラケット |
DE102019124298A1 (de) * | 2019-09-10 | 2021-03-11 | Kirchhoff Automotive Deutschland Gmbh | Instrumententafelträger für ein Kraftfahrzeug |
CN115320724B (zh) * | 2022-07-20 | 2024-04-16 | 岚图汽车科技有限公司 | 一种仪表板安装结构以及车辆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4730B1 (ko) * | 2013-12-31 | 2015-07-07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차량용 카울 크로스 멤버 어셈블리 |
Family Cites Families (4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82637A (en) * | 1991-12-13 | 1994-02-01 | Ford Motor Company | Mount for vehicle front support structure |
GB2328393A (en) * | 1997-08-21 | 1999-02-24 | Rover Group | Securing components together and a structural member so formed |
JPH11165524A (ja) | 1997-12-01 | 1999-06-22 | Moriroku Company Ltd | 自動車の空調用ダクト装置 |
DE19845146A1 (de) * | 1998-10-01 | 2000-04-13 | Progress Werk Oberkirch Ag |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Querträgers sowie derartiger Querträger |
JP3542288B2 (ja) | 1998-10-07 | 2004-07-14 | 森六株式会社 | 自動車におけ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支持構造 |
KR100324692B1 (ko) | 1999-12-30 | 2002-02-27 | 이계안 | 자동차용 카울 크로스 바의 고정구조 |
GB2368561B (en) * | 2000-11-01 | 2003-08-13 | Visteon Global Tech Inc | Motor vehicle steering column support assembly |
DE10104790B4 (de) * | 2001-02-02 | 2005-11-24 | Dr.Ing.H.C. F. Porsche Ag | Querträger für eine Armaturentafel eines Fahrzeugs |
KR20030004733A (ko) | 2001-07-06 | 2003-01-1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 바 연결 브래킷 |
US7607691B2 (en) * | 2003-08-27 | 2009-10-27 | Mahle International Gmbh | Lost core structural instrument panel |
FR2861682B1 (fr) * | 2003-11-04 | 2006-02-24 | Renault Sas | Tube de structure de vehicule |
US7407221B2 (en) | 2003-11-24 | 2008-08-05 | L&W Engineering Incorporated | Support structures using tubes having variable wall thicknesses |
DE102004016533A1 (de) * | 2003-12-18 | 2005-10-27 | Intier Automotive Interiors Gmbh | Querträger |
US6932410B2 (en) * | 2003-12-30 | 2005-08-23 | Lear Corporation | Instrument-panel mounting system |
KR100559584B1 (ko) | 2004-07-14 | 2006-03-10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카울크로스바의 센터서포트멤버 구조 |
US7216927B2 (en) * | 2004-12-03 | 2007-05-15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 Lightweight hybrid tubular/casting instrument panel beam |
JP4668707B2 (ja) * | 2005-07-06 | 2011-04-13 |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 デッキクロスメンバ、デッキクロスメンバの製作方法 |
FR2890370B1 (fr) * | 2005-09-06 | 2009-04-03 | Faurecia Interieur Ind Snc | Procede d'assemblage d'une traverse et d'une planche de bord et dispositif de centrage |
JP4119919B2 (ja) | 2006-01-27 | 2008-07-16 | 株式会社アステア | ステアリングコラムブラケット |
US7503622B2 (en) * | 2006-08-25 | 2009-03-17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 Tubular instrument panel support structure |
US7374232B2 (en) | 2006-08-31 | 2008-05-20 | Honda Motor Co., Ltd. | Hanger beam assembly |
DE102006055506A1 (de) * | 2006-11-24 | 2008-05-29 | Dr.Ing.H.C. F. Porsche Ag | Querträger, insbesondere ein Cockpitquerträger |
US7735905B2 (en) * | 2007-08-01 | 2010-06-15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Automotive vehicle instrument panel system |
US8100463B2 (en) * | 2008-01-09 | 2012-01-24 |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 Integrated brackets for vehicle instrument panels |
DE102008045914B4 (de) * | 2008-08-28 | 2018-01-11 | Progress-Werk Oberkirch Ag | Querträger für ein Kraftfahrzeug |
US20100327627A1 (en) * | 2009-06-30 | 2010-12-30 | Anthony Leanza | Light weight vertical support member in instrument panel frame |
DE102010020706B4 (de) * | 2010-05-17 | 2014-04-30 |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 Instrumententafelträger |
JP5310688B2 (ja) * | 2010-09-30 | 2013-10-0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のペダル後退抑制構造 |
JP5310689B2 (ja) * | 2010-09-30 | 2013-10-0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乗員膝保護装置 |
KR20120040548A (ko) | 2010-10-19 | 2012-04-27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용 카울크로스바 |
AU339754S (en) * | 2011-05-10 | 2011-12-07 | Vehicle Dev Corporation Pty Ltd | Vehicle cross beam |
FR2976901B1 (fr) * | 2011-06-21 | 2015-07-03 | Faurecia Interieur Ind | Traverse de planche de bord de vehicules ayant differentes configurations |
DE102011052250A1 (de) | 2011-07-28 | 2013-01-31 |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 Cockpittragstruktur eines Kraftfahrzeugs |
KR101755706B1 (ko) | 2011-09-05 | 2017-07-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카울크로스 구조 |
FR2979886B1 (fr) | 2011-09-09 | 2014-05-09 | Faurecia Interieur Ind | Traverse de planche de bord comprenant au moins deux troncons fixes l'un a l'autre par une soudure |
EP2792578B1 (en) | 2011-12-15 | 2017-04-05 | Honda Motor Co., Ltd. | Steering hanger assembly for vehicle |
FR2995862B1 (fr) * | 2012-09-24 | 2014-09-19 |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 Traverse de planche de bord de vehicule automobile constituee par deux tubes et une jambe de force en materiau composite |
JP6090128B2 (ja) * | 2013-11-22 | 2017-03-08 | マツダ株式会社 | 車両の前部車体構造 |
CN103770845B (zh) * | 2014-01-26 | 2016-12-07 |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 加强车辆乘员舱前围板的前舱内部结构 |
US9446800B2 (en) * | 2014-05-30 | 2016-09-20 | Van-Rob Inc. | Vehicle cross-support member with hybrid metal joint |
-
2016
- 2016-06-01 KR KR1020160067929A patent/KR10180670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11-02 US US15/341,252 patent/US10155536B2/en active Active
- 2016-11-15 CN CN202110297252.5A patent/CN112937694B/zh active Active
- 2016-11-15 CN CN201611004423.6A patent/CN107444498B/zh active Active
-
2018
- 2018-11-09 US US16/185,391 patent/US10766528B2/en active Active
- 2018-11-09 US US16/185,520 patent/US1076652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4730B1 (ko) * | 2013-12-31 | 2015-07-07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차량용 카울 크로스 멤버 어셈블리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67169A (ko) * | 2019-11-29 | 2021-06-08 | 주식회사 세원정공 | 자동차 카울 크로스 |
KR102385781B1 (ko) * | 2019-11-29 | 2022-04-13 | 주식회사 세원정공 | 자동차 카울 크로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2937694B (zh) | 2023-05-09 |
US20170349210A1 (en) | 2017-12-07 |
CN112937694A (zh) | 2021-06-11 |
CN107444498B (zh) | 2021-07-09 |
US10766529B2 (en) | 2020-09-08 |
CN107444498A (zh) | 2017-12-08 |
US10766528B2 (en) | 2020-09-08 |
US20190077452A1 (en) | 2019-03-14 |
US10155536B2 (en) | 2018-12-18 |
US20190077453A1 (en) | 2019-03-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6701B1 (ko) | 차량용 카울크로스바 | |
US8029046B2 (en) |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 |
US10112651B2 (en) |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 |
US8205925B2 (en) |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 |
US20120119542A1 (en) | Car body with reinforcing structure | |
CN108725588B (zh) | 车身底板构造 | |
US8491049B2 (en) | Frontal structure of vehicle | |
CN105313983A (zh) | 车辆的前部车身结构 | |
JP6237866B1 (ja) | 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構造 | |
JP2010000866A (ja) | 車両の前部車体構造 | |
JP4152162B2 (ja) |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 |
JP2010023661A (ja) | 車体前部構造 | |
JP6099207B2 (ja) | 自動車の車体構造 | |
JP2010023663A (ja) | 車体前部構造 | |
JP4133723B2 (ja) |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 |
JP4894613B2 (ja) | 車両のバンパー取付構造 | |
JP3978942B2 (ja) |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取付部車体構造 | |
JP2010234860A (ja) | 車体下部構造 | |
CN112789213A (zh) | 副车架构造 | |
JP4616015B2 (ja) | 三角窓補強構造 | |
JP2009113568A (ja) | 自動車の前部構造 | |
JP4285237B2 (ja) |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 |
JP2013100108A (ja) | 車体下部構造 | |
KR102026813B1 (ko) | 자동차용 필러트림과 플로어 접합부의 보강구조 | |
JP4992464B2 (ja) | リキッドタンクの取付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